자산 급증·쪼개기 후원 의혹…학위·탈북자 비하 등 뇌관 수두룩
증인·참고인 없이 진행 될 가능성
24일 열리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야 정치권 공방이 뜨거워지고 있다.
야권에서는 김 후보자의 불투명한 자산 증가 문제와 채무 관계 등을 앞세워 '파파돈'(파도 파도 계속 나오는 돈 비리 혐의) 전략을 펴는 가운데 여권에서는 김 후보자 방어에 총력을 다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의 가장 큰 쟁점은 김 후보자의 자산 형성 과정이다.
2019년 기준 총 자산이 마이너스 5억7천701만원이었던 김 후보자는 2025년 자산 총액으로 1억6천492만원을 신고했다. 약 6년 동안 자산이 7억3천193만원 늘어난 셈이다. 이 기간 동안 김 후보자는 불법 정치자금 수수 사건으로 추징금 약 6억2천600만원도 완납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김 후보자가 2020년도 이후 (국회의원 급여로) 5억원을 벌고 (추징금 완납을 포함해) 13억원을 썼다. 수입 대비 8억원이 빈다"며 "이 중 6억원은 출판기념회와 경조사 등 4건의 이벤트를 통해 마련했다고 했는데, 건당 1억5천만원씩 현금이 오간 셈이다. 정치자금법 위반과 탈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채무 관계도 문제 삼고 있다.
김 후보자가 2018년 A씨 등 11명에게서 1억4천만원을 빌린 것이 '쪼개기 불법 후원'으로 의심스럽다는 것이다. 채권자 중 일부는 과거 김 후보자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했던 이들이기도 하다. 김 후보자는 국무총리 지명 직후 대출을 받아 7년 만에 채무를 모두 변제했다.
자금 문제와 관련해 김 후보자는 "(8억원의 초과 지출 가운데 2억원은) 제가 부담하고 있지 않은 (전처가 양육하는) 아이의 학비고, 경조사와 출판기념회 수입은 들어온 돈을 그해에 바로 써 법적으로 신고 안 하게 돼 있다"며 "(채무 관계는) 법적으로 문제없는 일시적 차용"이라고 해명했다.
자금 문제 외에도 김 후보자를 겨냥한 뇌관은 수두룩하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를 향해 ▷민주당 최고위원 활동을 하며 취득한 중국 칭화대 석사학위 ▷석사 논문에서 탈북자를 비하하는 '도북자', '반도자'로 표기한 행위 ▷아들이 고교 때 만든 법안을 실제로 국회에 발의한 것 등을 두고 공세를 퍼붓고 있다.
김 후보자의 청문회는 사상 처음으로 증인·참고인이 없을 가능성도 높다. 국민의힘은 각종 의혹 검증을 위해 김 후보자의 금전 거래 관계자 5명을 증인으로 요청했으나 거대 여당의 벽에 막혀 무산됐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