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실부터 교실·체험학습·정서지원까지…실질 변화 중심 의정활동 전개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박채아)가 2025년 상반기 '안전'을 핵심 의제로 삼고 교육 현장 전반에 걸쳐 제도 개선과 정책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위원회는 학생과 교직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데 집중하며, 물리적 안전은 물론 정서적 안정까지 아우르는 다각적 대응에 나섰다.
지난 2월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피살 사건을 계기로, 교육위는 도내 초등학교 현장을 찾아 돌봄 운영 실태, 통학 동선, 귀갓길 안전 대책 등을 점검했다.
박채아 위원장은 "안전은 교육정책의 출발점이며, 아이들을 부모의 마음으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3월에는 안동·의성 일대 산불로 피해를 입은 학교에 대한 긴급 조사와 지원 예산 확보에도 나섰다.
김대일 의원은 "물리적 복구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의 정서 회복까지 고려한 진정한 복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급식의 질과 조리 종사자의 안전도 주요 관심사였다.
교육위는 급식 단가 문제와 가공식품 안전성에 대해 성인 기준 수준으로 안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경상북도교육청 안전한 급식실 환경 조성 및 지원 조례안'을 마련하고 있다. 해당 조례는 급식기구 확충과 공기질 관리, 종사자 건강관리 등 실질적인 조리환경 개선을 골자로 한다.
과밀학급·체험학습 안전에도 큰 관심을 보인 교육위는 '공간과 활동의 안전망 구축'에 힘썼다.
윤종호 의원은 모듈러 교실의 부실 시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능 기준과 설치 가이드라인을 명시한 조례를 발의했다. 이는 과밀학급 해소와 동시에 학습권 보호를 위한 조치다.
박용선 의원도 현장체험학습 시 안전보조 인력 배치 기준을 확대 적용하는 조례 개정을 추진 중이다. 유치원까지 범위를 확대해 교사의 부담을 덜고 학생 안전을 강화할 계획이다.
박채아 위원장은 "교육 현장의 안전은 단순한 수치가 아닌 실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며 "하반기에도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
트럼프 "한국 3천500억달러 투자…상호관세 25%→15%"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