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춘추-송지혜] 우회 중입니다, 더 나은 길로

입력 2025-06-01 11:46:22 수정 2025-06-01 11:52:5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수성아트피아 공연기획팀장

송지혜 수성아트피아 공연기획팀장
송지혜 수성아트피아 공연기획팀장

우리 몸의 혈관은 막히면 돌아가는 길을 스스로 만든다. 혈류가 끊기면 생명이 위태롭기에, 몸은 본능적으로 우회로를 만든다고 한다. 곁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이라는 현상으로, 혈관이 막히면 그 주변의 작은 혈관들이 새로 자라나거나 하면서 혈액을 공급하는 우회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나는 의사로부터 이 사실을 들었을 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우리 몸은 생존이 위협받는 순간에도 포기하지 않고 또 다른 길을 만들어내는구나!'. 정작 우리는 내 안에서 그런 일이 벌어지는 줄도 모르고 살아가지만, 내 혈관은 내가 쓰러지지 않도록 묵묵히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고 있었다.

그런데 우리는 살아가다 길이 막히면, 종종 주저앉거나, 아예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순간은 누구에게나 찾아오고, 마음은 쉽게 무너진다. 하지만 왜 성숙한 정신을 가진 인간은, 세포보다도 현명한 결정을 내리지 못할까? 왜 '돌아가는 길' 하나를 생각해내는 일이 그렇게 어려운 걸까?

몇 해 전, 우리는 오래도록 지켜온 삶이 바뀌었던 시기를 겪었다. 특히 문화예술계는 해외교류를 지속해오며 수년 간 준비한 공연이 전세계가 락다운(lockdown)되는 바람에 갑작스럽게 취소되는 일을 겪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예전과 같은 삶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고 모든 것이 끝나는 줄 알았지만, 시간이 흐른 뒤 오히려 다른 방법으로 문화는 발전하고 더 나은 기회들이 찾아왔다. 돌아보면 그것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길이었다.

우회한다는 건 좌절이나 실패의 다음 순서가 아니다. 기존의 길이 막혔을 때,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겠다는 용기이자 더 나은 경로를 찾겠다는 전략이다. 내비게이션도 마찬가지다. 앞에 사고가 나거나 길이 막히면 즉각 우회로를 찾아 재경로를 설정한다. 현재의 상황을 최적으로 반영한 가장 최신의 기술이자 현명한 판단이다.

살다 보면 누구나 우회로를 선택해야 할 순간이 온다. 어떤 길은 내 의지와 상관없이 막히고, 어떤 상황은 애써도 해결되지 않는다. 그럴 때 우리는 너무 자주, 그것이 나의 부족 때문이라 여기고 자신을 탓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우회로를 선택했다는 건, 내가 더 나은 길을 찾으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는 증거다.

많은 사람들이 인생에서 우회로를 선택할 때 자신의 부족함으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건 내가 잘못된 길을 걸어왔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지금의 내가 더 잘 살아가기 위해 또 다른 방향을 찾아 나선 것이다. 조금 돌아가는 길일지라도 괜찮다. 내가 걸어온 길이 충분히 빛났기에, 더 빛날 수 있는 방향으로 지금 길이 바뀐 것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그런 길이라면… 누가 마다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