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의문사 없었다…청렴 개발 보여준 김문수, '판교·광교·다산·동탄' 사례 보니

입력 2025-05-27 09:27:05 수정 2025-05-27 09:43:22

정조의 도시처럼 '천년 가는 도시' 꿈꾸며 쌓아올린 무결점 개발 성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6일 경기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6일 경기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6일 경기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방문해 삼성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6일 경기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방문해 삼성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땅 위에 그려낸 무결점 도시 개발의 기록이 있다.

그 중심에는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있다.

지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경기도지사로 재임하며 그는 광교, 판교, 다산 등 수도권 핵심 지역에 대규모 신도시 개발을 이끌었고, 그 과정에서 단 한 건의 구속이나 부패 논란 없이 사업을 완주했다.

이는 오늘날 각종 논란에 휘말린 대장동 개발과는 분명한 대비를 이룬다.

김 전 지사는 대규모 도시개발을 통해 경기도의 산업 지도를 바꾸는 동시에, 청렴성과 행정 투명성을 강조한 정책 수행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가 손수 밑그림을 그리고 밀어붙인 광교신도시와 판교 테크노밸리, 다산신도시는 오늘날 수도권 산업·주거·교통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정조대왕이 수원 화성을 만들었듯, 우리는 천년 가는 도시를 만들자고 다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동탄·광교신도시 조성 당시 이를 단순한 주거개발로 보지 않았다.

도시 설계와 건축, 자연환경, 산업구조가 조화되는 미래지향형 도시로의 성장을 목표로 삼았다. 실제로 광교신도시에는 서울대학교 융합기술대학원, 나노기술연구소 등 첨단 연구기관들이 입지했으며, 호수공원과 산책로 등 녹지 공간이 도시 곳곳에 조성됐다.

개발 규모에 있어서도 동탄·광교는 대장동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김 전 지사에 따르면 "수원 광교 신도시는 대장동보다 10배 이상 크다"고 했다. 그는 자신이 만든 광교신도시에 대해, 부정부패가 없었고, 공직자가 구속되거나 사망한 일도 없었음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문수 전 지사는 첨단 산업의 요람이 된 판교신도시 개발에도 깊이 관여했다. 판교는 단순한 신도시가 아닌 IT·바이오 중심의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한 산업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했다.

안랩, SK, 파스퇴르연구소, GE연구소 등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이곳에 터를 잡았고, 김 전 지사는 이들 기업 유치에 직접 참여했다.

판교의 교통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모델을 구상하고 추진하는 데도 앞장섰다.

당시 그는 수도권을 30분 내외로 연결하는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빠르고 효율적인 광역교통망 구축을 행정 목표로 삼았다.

다산신도시는 남양주 지역에 조성된 복합 신도시로, 대장동보다 50배에 달하는 면적을 바탕으로 한 대규모 주거·산업 단지였다.

김 전 지사는 "다산신도시 개발은 대장동보다 훨씬 큰 규모로, 주거와 산업기능을 함께 담은 종합 도시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신도시는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감독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으며, 각종 의혹이나 사건 없이 완료됐다.

김 전 지사의 도시 개발 모델은 '청렴'이라는 단어로 정리된다.

그는 광교·판교·다산 등 주요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단 한 명의 공무원이 구속되거나, 사업 관련해 목숨을 잃은 사례가 없다는 점을 거듭 밝혀왔다. 이는 대장동 개발과 비교할 때 가장 뚜렷한 차이점이다.

대장동 사업은 성남도시개발공사가 민관합동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이후 사업자 선정 및 이익 배분 과정에서 불투명한 정황이 드러나며 다수의 구속과 수사를 낳았다.

이와 달리 김문수 전 지사는 본인 및 가족 모두 수사나 조사를 받은 적이 없다. 특히 그가 재임한 8년 동안, 대규모 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도 행정 신뢰성을 잃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민사회 및 행정계의 주목을 받았다.

대장동 개발을 둘러싼 논란은 단순한 지역개발 실패를 넘어, 공공의 신뢰와 행정의 도덕성에 대한 심각한 훼손으로 이어졌다.

개발이익 환수 논란, 특혜 의혹, 그리고 공무원 및 측근들의 구속과 의문사까지 잇달았다. 이는 김문수 전 지사의 개발사업이 가져온 안정성과 정직함을 더욱 부각시키는 배경이 됐다.

개발 방식에 있어서도 양측은 현저히 다르다. 김문수 지사의 신도시들은 민간의 효율성과 공공의 감독 체계를 조화시킨 모델이었다.

그는 "공공이 통제하고 민간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면, 부정부패 없는 투명한 개발이 가능하다"는 지론을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했다.

반면 대장동은 민관이 공동개발을 추진했지만, 이익 구조와 사업자 선정에 대한 문제로 인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수많은 의혹을 낳았다.

김 전 지사가 주도한 개발사업의 또 다른 특징은 산업과 일자리 창출에 대한 집중이었다. 광교에는 첨단과학단지와 연구기관이, 판교에는 국내외 유수의 기업과 연구소가 입주하면서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고급 일자리가 창출됐다.

이러한 구조는 도시의 자생적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단순한 주거 중심 개발에서 벗어난 모델을 구현했다.

특히 판교 테크노밸리는 국내 최대 IT·바이오 클러스터로 성장했으며, 이 공간을 통해 창업 생태계와 벤처 투자도 활성화됐다.

이처럼 김문수 전 지사의 개발 정책은 산업과 주거, 교통, 생태 환경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도시의 밑그림을 그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전 지사는 수차례 인터뷰에서 "대장동보다 훨씬 더 큰 도시들을 개발했지만, 누구 하나 다치지 않았고, 구속된 공직자도 없었다는 점이 가장 자랑스럽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8년은 단순한 개발의 시간이 아니었다.

수천만 평에 달하는 수도권의 땅 위에 도시라는 이름의 미래를 새기며, 단 한 번의 오점 없이 행정의 모범을 보여준 시간이었다. 김문수 전 지사의 도시개발은 단순한 과거의 업적이 아닌, 지금도 회자되는 '깨끗한 개발'의 교본으로 남아 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6일 서울 도봉구 방학사거리에서 집중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6일 서울 도봉구 방학사거리에서 집중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런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이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로서 국민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광교와 판교, 다산 등 수십 배 규모의 도시를 조용히, 그러나 완벽하게 완성시켰던 그 손길은 단 한 차례의 부정부패도 없이 청렴한 행정의 본보기를 남겼다.

구속도, 의문사도, 특혜도 없던 그의 개발정책은 오늘날 혼란과 논란이 가득한 정치 현실 속에서 더욱 선명하게 빛난다.

김문수 후보는 이제 도시를 넘어, 국가의 미래를 설계하겠다는 약속으로 유권자 앞에 다시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