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 쟁점으로 떠오른 '원전'…RE100 인식 차이 극명

입력 2025-05-25 15:52:53 수정 2025-05-25 21:01:47

이재명 후보 "원전 위험비용 따지면 비싼 에너지일 수도"
학계 "AI 첨단산업 육성, 에너지 자립 위해 원전은 필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자력 발전에 대한 대선 후보 간 인식 차이가 드러난 가운데 국가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원전 사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로 열린 2차 TV 토론에서 "원전이 당장은 싼 게 맞지만, 폐기물 처리비용이나 위험비용을 계산하면 엄청나게 비싼 에너지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1차 토론에서 이 후보가 후쿠시마, 체르노빌 사고를 언급한 점을 두고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원자력의 안전성을 꾸준히 의심해서 해외 세일즈도 안 됐다"는 지적에 반박한 것이다.

이에 반해 김문수 후보는 한국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하며 전력 비중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김 후보는 "원자력 발전 비용이 풍력의 8분의 1, 태양광의 6분의 1도 안 되는데 이렇게 값싸고 안전한 원자력 발전을 안 한 것은 잘못된 환경론자들의 주장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학계에서는 에너지 강국 도약을 위해 원자력 발전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원자력학회와 14개 유관단체가 합동으로 발간한 '국가 원자력 정책제언서'에 따르면 인공지능(AI) 혁명을 주도하는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2050년까지 원전 용량을 3배 이상 확대하는 '대규모 에너지 사용자들의 선언'을 공표했다.

경제성과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고려했을 때 원자력 발전이 지니는 장점이 분명하다. 특히 AI 데이터 센터, 반도체 등 국가 주력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자립할 수단으로 국가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 첨단산업의 부상으로 무탄소·저비용 전력을 공급해 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면서 "세계 주요국도 원자력을 확대하는 추세이며 SMR(소형모듈원전) 등 차세대 기술을 개발해 수출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장기적 비전 제시와 인재 육성도 필수적"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RE100(재생에너지 100% 전환) 실현에 원전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원전은 실질적 무탄소 전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또 RE100의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만큼 최근 보완 해법으로 제시되는 CF100(무탄소 에너지 100% 전환)에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정용훈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첨단 산업을 육성하는 국가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필수 요건이다. 화석연료를 제외하면 현재 원자력이 유일한 해법"이라며 "신재생에너지를 주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규모를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다. AI 데이터센터 등 전력 소모가 큰 시설을 운영하는 데 원전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