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학사, 지난해 수능 데이터 분석 자료 공개
4등급부터 8등급까지 재학생 비율 점점 증가
지난해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와 수학, 탐구 영역에서 모두 1등급 받은 학생의 70%는 졸업생 등 N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진학사는 자사 정시 합격 예측 서비스를 이용한 재학생 7만7천215명, 졸업생 7만9천627명 등 총 15만6천842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국어와 수학, 탐구(2과목 평균) 영역을 모두 1등급 받은 수험생 중 70.35%는 N수생이었고 재학생은 29.65%였다.
3개 영역 모두 2등급 받은 학생 비율도 N수생이 61.01%로 재학생 38.99%보다 많았다. 3개 영역 모두 3등급 받은 학생 비율 역시 N수생이 53.25%로 재학생 46.75%를 앞섰다.
4등급부터는 재학생 비율이 더 높았는데 3개 영역에서 모두 4등급 받은 학생 중 54.6%가 재학생, 45.4%가 N수생이었다. 3개 영역에서 모두 5등급 받은 학생 역시 재학생이 62.76%로 N수생 37.24%보다 많았다.
재학생 비율은 등급이 낮아질수록 증가해 8등급을 받은 학생 중 재학생은 79.66%에 달했다. 반면 가장 낮은 성적인 9등급 수험생 중에서는 졸업생이 53.3%로 재학생 46.67%보다 많았다.
영역별로는 수학과 탐구 영역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두 영역에서는 1등급 수험생 중 3분의 2 이상이 N수생이었고, 2등급에서도 60% 정도를 N수생이 차지했다. 가장 작은 차이를 보인 영역은 영어로, 절대평가로 시행되는 영어의 경우 1~3등급 내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간 비율 차이가 크지 않았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은 개념 정립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다양한 문제 풀이를 통해 실력을 쌓아야 하는 시험"이라며 "이런 (시험의) 특성상 더 오랜 시간 동안 준비한 N수생들이 강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고3 학생들은 6월 모의고사 전까지는 재학생들만 응시하는 학력평가 성적으로 수능에서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게 되는데 이때 N수생의 영향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홍준표 "대선 끝날 때까지 정치포스팅 중단…당에서 밀려난 처지"
TK서 김문수 지지율 '50%선' 붕괴…국힘, 지역에 의원들 급파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이재명 "빚내서 집 사는 시대 끝나…'가짜 성장' 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