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상위권은 졸업생이 강세"…국수탐 영역 1등급 70%가 'N수생'

입력 2025-05-19 15:11:25

진학사, 지난해 수능 데이터 분석 자료 공개
4등급부터 8등급까지 재학생 비율 점점 증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200일 앞둔 지난달 27일 서울 강남구 강남하이퍼학원 본원에서 한 수험생이 자습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200일 앞둔 지난달 27일 서울 강남구 강남하이퍼학원 본원에서 한 수험생이 자습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와 수학, 탐구 영역에서 모두 1등급 받은 학생의 70%는 졸업생 등 N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진학사는 자사 정시 합격 예측 서비스를 이용한 재학생 7만7천215명, 졸업생 7만9천627명 등 총 15만6천842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국어와 수학, 탐구(2과목 평균) 영역을 모두 1등급 받은 수험생 중 70.35%는 N수생이었고 재학생은 29.65%였다.

3개 영역 모두 2등급 받은 학생 비율도 N수생이 61.01%로 재학생 38.99%보다 많았다. 3개 영역 모두 3등급 받은 학생 비율 역시 N수생이 53.25%로 재학생 46.75%를 앞섰다.

4등급부터는 재학생 비율이 더 높았는데 3개 영역에서 모두 4등급 받은 학생 중 54.6%가 재학생, 45.4%가 N수생이었다. 3개 영역에서 모두 5등급 받은 학생 역시 재학생이 62.76%로 N수생 37.24%보다 많았다.

재학생 비율은 등급이 낮아질수록 증가해 8등급을 받은 학생 중 재학생은 79.66%에 달했다. 반면 가장 낮은 성적인 9등급 수험생 중에서는 졸업생이 53.3%로 재학생 46.67%보다 많았다.

영역별로는 수학과 탐구 영역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두 영역에서는 1등급 수험생 중 3분의 2 이상이 N수생이었고, 2등급에서도 60% 정도를 N수생이 차지했다. 가장 작은 차이를 보인 영역은 영어로, 절대평가로 시행되는 영어의 경우 1~3등급 내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간 비율 차이가 크지 않았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은 개념 정립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다양한 문제 풀이를 통해 실력을 쌓아야 하는 시험"이라며 "이런 (시험의) 특성상 더 오랜 시간 동안 준비한 N수생들이 강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고3 학생들은 6월 모의고사 전까지는 재학생들만 응시하는 학력평가 성적으로 수능에서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게 되는데 이때 N수생의 영향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