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개발원 8월 이전 완료 앞둬… 실질적 인구 유입 효과는 제한적일 수도
경상북도가 정주 여건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도청 신도시 활성화에 집착해 미이전 공공기관의 신도시 이전을 밀어붙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도시 내 신규 오피스텔·아파트 등 주거물량 공급이 없는 탓에 섣부른 이전 추진이 오히려 신도시 공동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반박까지 나온다.
7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도청 신도시 제2행정타운 부지(예천군 호명읍) 내에 도 공무원 인재개발원(인재개발원)이 준공됐다. 이전은 오는 8월까지 완료한다. 총사업비 844억원을 들여 2022년 착공한 인재개발원은 연간 8천여명의 도와 각 시·군, 산하기관 공무원들이 교육 연수를 받는다. 도는 인재개발원 이전을 통해 교육생, 인재개발원 직원 등이 유입될 경우 도청 신도시 경기 활성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도는 향후 경북도체육회(장애인 체육회 포함), 도립예술단(교향악단·국악단·무용단) 이전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기관의 직원은 약 250여명 수준이다.
이외에도 경북도 동물위생시험소 등 10여개 기관도 이전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이들 기관이 이전해도 당장 직원들이 머물 주거시설이 없다. 신도시 내 오피스텔 2천81실의 입주율은 96%(1천996실)에 달한다. 아파트도 9천118세대 중 98%(9천901세대)가 입주했다. 신규 아파트·오피스텔 공급 물량도 2020년 7월 이후 멈췄다. 신도시 인구는 늘어난 반면에 주거 물량 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원룸·오피스텔의 경우에는 월세가 50만원 이상이다.
기관의 이전에 따른 인구 유입 효과도 미지수다. 도가 이전을 서두르는 인재개발원은 상주직원이 30명 수준에 불과하다. 또 시·군 소속 교육생들은 대부분 교육을 위해 주거지에서 출·퇴근을 하는 경우도 많아 실제 인구 유입 효과는 기대 이하로 전망된다.
이전 대상 공공기관 소속 직원 A씨는 "신도시는 여전히 주거와 편의 시설이 부족하다. 섣부르게 이전을 추진할 경우엔 오히려 공동화 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 이후 도가 민심을 달래는 차원에서 산하기관 이전을 서두른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전이 거론되는 일부 기관이 애초 계획보다 앞당겨 이전이 추진·논의되고 있어서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신도시 활성화를 위해선 미이전 기관들이 신도시로 옮겨오는 것도 중요하다. 앞으로 신도시 인근 안동시 풍산읍에 바이오국가생명산업단지 조성 등이 본격화되면 신규 일자리 창출과 함께 주택 공급 등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