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혁신 사라진 한국 영화…칸영화제 공식 초청 '0편'

입력 2025-04-28 07:31:33

코로나19 이후 산업 침체…흥행 공식 맞춘 작품·감독에 투자 쏠려
"포스트 봉준호·박찬욱 안 보여…신인 창작자 지원 절실"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 포즈를 취하고 있는 영화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 포즈를 취하고 있는 영화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을 비롯한 출연진과 제작진. 연합뉴스

세계 최고 권위의 영화제인 칸국제영화제가 올해 한국 장편을 한 편도 초청하지 않으면서 충무로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영화계에선 코로나19 이후 침체의 늪에 빠진 한국 영화 산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하는 한편 'K-무비'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선 신진 창작자에 대한 투자와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26일 칸영화제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다음 달 13일 개막하는 제78회 칸영화제 공식 부문에 초청된 한국 장편 영화는 한 편도 없다.

지난 10일 초청작 기자회견 이후 추가로 발표하는 초청작에 한국 영화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24일 공개된 추가 초청작에도 한국 영화는 없었다. 한국 장편이 칸영화제 공식 부문의 초청장을 받지 못한 건 2013년 이후 12년 만이다.

칸영화제는 1984년 이두용 감독의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를 상영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한국 영화를 세계 관객에게 소개했다.

봉준호, 박찬욱, 이창동, 홍상수 등 여러 한국 감독이 세계적인 거장 반열에 오를 수 있었던 데에도 칸영화제의 역할이 컸다. 특히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으로 한국 영화 최초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받았고 박찬욱 감독은 심사위원대상('올드보이'), 심사위원상('박쥐'), 감독상('헤어질 결심')을 가져가면서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거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칸영화제는 두 사람 외에도 다양한 한국 감독의 작품을 주목할 만한 시선이나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등 비경쟁 부문에 초대했다. 최근 몇 년간 연상호, 나홍진, 정주리, 변성현, 한준희 등 차세대 감독이 칸의 무대를 밟았다.

매년 적게는 1∼2편, 많게는 3∼4편의 장편이 칸영화제에서 상영된 만큼 한국 영화계는 이번 '0편 초청' 사태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영화 산업이 침체일로를 걸어온 점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였다는 의견도 나온다. 투자배급사가 허리띠를 조이면서 제작 작품 수 자체가 줄어든 데다, 흥행할 여지가 큰 작품에만 투자가 몰려 예술 영화를 선호하는 칸영화제가 부를 만한 작품이 없게 됐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몇 년간 이어지던 '신인 감독 가뭄' 현상이 올해 칸영화제를 계기로 수면 위로 드러나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충무로의 다음 세대를 책임질 창작자가 부족하다는 점은 코로나19 이후 꾸준히 한국 영화의 문제로 지적됐다. 그러나 각종 영화제 예산이 삭감되고 투자배급사의 문 역시 좁아지면서 신인 감독들이 작품을 선보일 기회는 점점 더 사라지는 추세다.

한국 영화가 옛 영광을 되찾으려면 신인 감독과 시나리오 작가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영화계는 입을 모은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연합뉴스를 통해 "독립영화와 영화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한국 영화가 발전을 거듭해 '기생충'이란 결실까지 볼 수 있었다"며 "젊은 창작자에 대한 정부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