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임기 내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김경수·김동연도 "세종 이전"
김문수 "의견 수렴", 한동훈 "차차 논의", 나경원 "헌법 개정 사항"
홍준표·안철수 "청와대로", 이철우 "충남 이전", 유정복 "세종 이전"
'6·3 장미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세종 이전 여부가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주자들은 17일 사실상 '세종 대통령실 시대'를 열겠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국민의힘 주자들은 일부 공감을 표하면서도 청와대로 들어가겠다거나 추후 검토해봐야 한다는 등 입장이 엇갈린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균형발전의 심장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수 후보는 지난 13일 세종에서 출마 선언을 하며 행정수도 세종 완전 이전,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공약을 제시했다. 김동연 후보 역시 "대통령실, 국회, 대법원, 대검을 세종시 및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논의의 배경에는 비상계엄·탄핵 등 사건의 무대였던 윤석열 정부의 '용산 대통령실'과 제대로 결별하겠다는 민주당 주자들의 의지가 우선 읽힌다. 대선에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하는 중원 민심을 공략하려는 맥락이기도 하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은 집권을 전제로 대통령 집무실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1차 경선 미디어데이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난 후보들은 제각각 입장을 밝혔다.
김문수 후보는 "지금처럼 관저와 집무실이 떨어져 있는 게 맞는지 여러 가지로 검토할 점이 있다. 의견을 수렴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한동훈 후보는 "국민 감정, 지역 균형, 효율성 문제에 따라 차차 논의해도 된다"고 했다.
나경원 후보는 "세종 이전에 대해 열려있지만 절차가 필요하다"며 "세종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옮기는 건 명백한 헌법 개정 사항"이라고 했다.
안철수 후보는 차기 대통령 집무실로 청와대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서 "미국 백악관을 모델로 청와대 일부를 국민에게 개방하는 안도 있다"고 했다. 앞서 홍준표 후보 역시 집권할 경우 집무실로 청와대를 쓰겠다는 입장을 냈다.
지방 분권 메시지를 주로 내왔던 유정복 후보는 세종 이전을, 이철우 후보는 충남 이전을 내세운 바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대선 때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논의는 단골 화두"라면서 "세종 이전의 경우 헌법 개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짧은 기간 각 주자들이 실현 가능한 로드맵을 내놓을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