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아시아 이어 북중미도 "64개국 월드컵 반대"

입력 2025-04-16 14:36:54 수정 2025-04-16 19:13:02

월드컵 100주년 기념 2030대회서 남미연맹서 제안…일제히 "나쁜 생각…논의 가치 없어"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 연합뉴스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 연합뉴스

2030년 FIFA 월드컵 본선 출전국을 64개국으로 늘리자는 제안에 대해 유럽, 아시아 뿐 아니라 북중미도 반대하고 나섰다.

남미는 최근 월드컵 100주년을 맞는 2030년 대회를 '64개국 체제 월드컵'으로 하자는 의견을 FIFA에 제안했다. 지난달 초 열린 FIFA 평의회 회의에서 우루과이축구협회 이그나시오 알론소 회장이 이런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제안이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가운데 각 대륙 연맹 수장들이 일제히 반대 의사를 밝히고 있다.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빅터 몬탈리아니 회장은 15일 스포츠 매체 ESPN과 인터뷰에서 "아직 48개국이 나서는 월드컵도 해본 적 없다. 64개국 확대 안건은 논의할 가치도 없다"며 "넓은 축구 생태계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아시아축구연맹 셰이크 살만 빈 에브라힘 알 칼리파 회장은 지난 12일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혼란만 초래할 것"이라며 "누군가는 132개국으로 늘리자고 요구하게 될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유럽축구연맹(UEFA) 알렉산데르 체페린 회장도 이달 초 "(64개국 확대안은) 나쁜 생각으로, 당치도 않다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이로써 남미 측을 제외한 유럽, 아시아, 북중미 대륙 연맹 모두 '64개국 대회'에 일제히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

반면, 월드컵 아시아 예선 과정에서 번번이 본선 진출이 좌절된 중국은 본선 진출국이 64개국으로 늘면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내심 반기고 있다.

한편 1930년 우루과이에서 첫 대회를 치른 월드컵은 1998년 프랑스 대회부터 32개국으로 본선 진출국이 늘었고 북중미 3개국(미국, 캐나다, 멕시코)이 공동 개최하는 2026년 대회에서는 48개국으로 참가국 수가 또 다시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