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폐암으로부터 자유로운 학교 만들어야"… 대구시교육청 앞에서 목소리 높인 교육공무원

입력 2025-04-15 15:40:03

"폐 이상 소견자 30% 넘어… 근무 강도·환경 개선해야"
"산업재해 통계조차 파악 안 돼" 지적 이어져
"비상대책반·세부 근무지침 마련 필요" 폭염 대책도 촉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구지부 제공.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구지부 제공.

대구 교육공무직 종사자들이 학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근무자들이 폭염과 폐암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15일 오전 10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구지부(공무원노조)는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근본적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외쳤다.

이들은 학교 급식실의 환기 시설이 개선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 2021년 12월부터 학교급식노동자를 대상으로 건강 검진을 한 결과, 폐 이상 소견자가 32.33%에 육박해서다.

학교 급식실 종사자가 감당해야 하는 식수 인원이 상당해, 근무 환경이 열악해졌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들은 공공기관 종사자의 1인당 식수 인원이 50~60명이지만, 학교 급식실 종사자 한 명이 감당해야 할 식수 인원은 150명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본격적인 더위가 찾아오기 전, 폭염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교육청이 폭염을 대비해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사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며 "기온별 근무 지침을 마련하고, 온열질환자가 발생할 경우 응급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 외에도 작업장과 휴게실의 냉방시설을 미리 점검하고, 냉감 소재의 기능성 작업복을 요구했다.

게다가 교육공무직 종사자 상당수가 산업안전보건법의 보호를 받지 못해, 최소한의 보호 조치도 받지 못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공무원노조는 "'현업업무'로 분류되지 않는 교육공무직은 안전보건관리체계와 안전보건교육을 받을 수 없다"며 "직종별 산업재해 통계도 구체적으로 집계되지 않아, 재해 현황과 위험성도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고 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후 대구시교육청에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박호근 공무원노조 대구지부 수석부지부장은 "대구시교육청의 회신을 기다리며 추가 행동을 기획하고 있다. 맡은 업무에 따라 필요한 조치가 다르다 보니, 직군별로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