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한 시나리오지만 북중 관계 고려하면 '글쎄'
러시아가 다음 달 9일 있을 제2차 세계대전 승리 기념일(전승절) 열병식에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을 초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중·러 3자회동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만약 김 위원장이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할 경우 북·중·러 지도자가 처음으로 한자리에 서게 된다.
옛 소련이 나치 독일에 승리한 것을 축하하는 전승절은 러시아의 주요 국경일이다. 이날의 백미는 열병식으로 관람 연단에 오를 여러 국가 대표들의 좌석 배치는 초미의 관심사다. 외교적 친밀도를 가늠할 수 있는 무언의 표시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적극적이었던 북한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과 근거리에 설 것으로 점치면서 동시에 시 주석과의 3자회동도 가능한 시나리오로 예상하고 있다.
시 주석의 러시아 방문은 긍정적 신호 일색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러시아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달 1일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면담하면서 "시 주석이 5월 9일 전승절에 러시아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한다. 시 주석은 우리의 주요 손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왕 부장도 당시 자신의 러시아 방문 주요 임무가 시 주석의 러시아 방문과 전승절 행사 참석 준비임을 확인하며 "준비가 꽤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답한 바 있다.
다만 그간 중국이 북·러 밀착을 경계해온 마당에 시 주석이 김 위원장과 함께 열병식에 서는 것을 원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 위원장도 마찬가지다. 평양에서 모스크바까지 전용 열차를 이용해야 하는 장거리 이동의 불편을 감수하고 다자외교 무대에 설지 불분명하다는 예상도 비등하다.
또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시기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진 바도 없다. 수개월 안에 방문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전승절을 방문 적기로 삼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지난달 27일 김 위원장의 올해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유승민, 국힘 경선 불출마…"이재명 이길 생각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