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10일 미국에 대한 관세 보복에 나설 예정이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하면 세계 무역 시장에 미칠 영향력이 상당하지만 한국이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9일 미국과 중국의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10일(이하 현지시간)부터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미중 관세 갈등이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중국이 지난 4일 발표한 미국산 석탄 및 LNG(15%), 원유‧농기계‧대형 자동차‧픽업트럭(10%) 등에 대한 추가 관세가 현실화하는 분위기다.
미국과 중국의 물밑 협상으로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도 있지만, 관세 전쟁이 이어지거나 확대될 경우 우려가 깊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제금융센터는 6일 발간한 '중국의 대미 관세 대응 관련 해외시각' 보고서를 통해 "양측의 추가 조치 등에 따른 강대강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앞서 2일 국제금융센터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평가 및 전망' 보고서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와 중국의 맞대응 과정에서 우리 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 높아진다"며 "G2의 대(對)한국 투자 확대 등 일부 반사이익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미국의 관세가 중국에 제한될 경우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 경쟁력이 오르는 풍선 효과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 바 있다.
미국이 10일부터 다수 국가를 상대로 한 상호 관세에 나설 경우 지난해 대미 흑자가 총 557억달러(81조원)에 달했던 한국은 향후 미국이 비관세 장벽, FTA 재개정 압박을 가해 올 경우 타격을 벗어나기 힘들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미국이 지난 4일부터 적용하려던 관세 부과를 1개월 유예했지만, 결국 FTA 체결국도 '관세 폭탄'의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점은 이미 확인됐기 때문이다.
특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무관세 적용 대표 품목인 승용차부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 비중은 46.6%를 기록했는데, 이 중 8.6%가 한국 자동차이다. 이밖에 국내 산업계는 반도체·가전·철강 등 핵심 수출 품목도 표적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한국과 미국은 FTA로 대부분 품목에 대해 관세가 없지만, 한국이 상당한 규모의 대미 무역 흑자를 내고 있는 만큼, 압박 수위를 당장 알 수 없지만, 관세 부과에 대한 우려는 배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다만, 현대차 등 기업들이 미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일자리를 만들어가고 있는 만큼 이번 관세 갈등에서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뒤흔든 '尹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대한민국을 지키자"[종합]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항공사진 AI 분석, 동대구역에 15만 인파…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한 목소리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