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사이 내린 눈이 쌓여 대구 시민들이 출근길에 불편을 겪고 있는 가운데 염화칼슘 도포 등 제설 관련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7일 대구경찰청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30분 기준 달구벌대로, 칠곡중앙대로, 호국로 등 주요 도로는 1차 제설 작업이 됐으나 골목길 등 이면 도로 대부분은 여전히 눈이 남아있다.
제때 제설되지 못한 눈이 빙판길을 이루면서 이날 출근 시간대 수성구 청호로와 연결된 골목길에서는 차들이 시속 10㎞ 미만의 속도로 운행을 이어가면서 정체를 빚고 있다.
직장인 김모(31)씨는 "모든 차량이 20~30km 속도로 나아가는 바람에 출근 시간이 평소보다 많이 걸려 지각했다"며 "우회전 좌회전 시 바퀴가 헛도는 등 미끄러워 아찔한 순간이 있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시민 성모(42)씨는 "오늘 아침 회사에서 출근은 대중교통을 이용해달라며 안내문제가 오기도했다. 동료들도 10분 이상 출근시간에 늦었다"라며 "오후에는 제설 작업이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에서도 눈 쌓인 빙판길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네티즌들은 "대구 제설차 다 고장 나고 제설 직원 다 휴가 갔나요?" "대구 제설차가 없나 눈이 너무 많이 온다" "제설 작업 빨리 좀 하자" 등의 불편함을 호소했다.
대구에서만 이날 오전 4시 48분부터 9시까지 눈길 교통·낙상 사고 20건이 접수되기도 했다.
대구 지역 기초자치단체들은 전날 밤부터 각기 비상 대응 단계를 발령하고 직원들을 동원해 도로에 염화칼슘을 뿌리는 등 제설 작업을 벌였다.
중구 간선도로인 태평로와 달구벌대로에는 제설차량 2대가 투입돼 밤새 운용 중이다. 군위군은 이날 새벽 제설 차량 5대를 투입했다. 북구 국우터널, 산격대교 등 6곳에는 염수분사장치 시설이 작동돼 분사 형태로 제설이 이뤄졌으나 여전히 빙판길이 남아있다.
앞서 대구시는 전날 오후 11시 비상1단계 근무 체계로 전환했으며, 이날 오전까지 인력 126명과 살포기 등 장비 48대, 영화칼슘 184톤, 염수 5만8천ℓ등을 동원해 신천대로, 공항로, 이시아강변로, 달구벌대로, 앞산순환로, 테크노폴리스로, 팔공산로 등 77개 노선에서 사전살포 및 제설작업을 실시했다.
이날 오전 4시 15분부터 동구 팔공산로, 달서구 파도고개 등 4개 구간에서 내린 눈이 얼며 한때 이동이 제한됐으나, 오전 9시 제설을 모두 마쳐 통행이 가능하게 됐다.
대구 지역 적설량은 서구 0.9㎝, 동구 1㎝, 달성군 0.8㎝, 군위군 0.1㎝로 집계됐다.
경찰과 지자체 등은 결빙 취약 구간 제설을 하며 교통안전을 위한 순찰을 강화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