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 이어 일본도 '딥시크' 금지령

입력 2025-02-02 15:24:41

연합뉴스
연합뉴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모델 관련 데이터 유출 가능성 우려로 미국, 대만 등에서 '금지령'이 나온 가운데, 일본에서도 이용을 막을 방침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일본 공영방송 NHK 등에 따르면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은 전날 오키나와현 나고시에서 한 강연에서 딥시크 AI와 관련해 "개인 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가 문제"라면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지킨다는 관점에서 필요하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데이터 보호라는 관점에서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거나 사용하려면 유의해야 한다"고 전하며 내각사이버시큐리티센터(NISC)를 통해 각 부처에 주의를 환기할 방침을 밝혔다.

지난달 31일 일본 중의원(하원)에서도 자민당 주요 간부인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이 딥시크 AI가 센카쿠 열도를 중국 땅이라고 답변한다며 "위험하기 때문에 딥시크를 다운로드하는 것은 중지하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센카쿠 열도는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곳으로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중국은 해경선 등을 주변 해역에 보내 분쟁화를 시도하고 있는 지역이다.

일본 이외에도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개인정보 등 보안 문제를 들며 딥시크 AI 챗봇의 접속을 잇따라 차단하고 있다.

미국 의회와 국방부는 직원들에게 접속을 금지했다. 미 국방부는 "잠재적 보안상 문제 및 윤리적 우려가 있다"며 딥시크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다.

유럽도 경계 수위를 높이는 분위기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고,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도 딥시크 측에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한 질의서를 발송했다. 독일 당국도 딥시크에 대한 규제 조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일랜드 데이터보호위원회(DPC)는 유럽연합(EU) 개인정보 관련법 위반 가능성을 시사하며 딥시크에 아일랜드 사용자 관련 데이터 처리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대만 정부는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사용을 금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