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쟁력 의지 피력한 트럼프 中제재 가능성
범용 인공지능 개발 속도전 '스푸트니크 모먼트'
인공지능(AI) 딥시크가 미국 산업계와 증시에 충격을 주면서 AI 패권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간 AI 주도권 경쟁이 더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과거 냉전시대 러시아가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발사에 성공하며 우주과학 발전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것처럼, 두 강대국의 경쟁 심화로 AGI(범용 인공지능,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개발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 경쟁국은 역시 중국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AI 산업을 중국과의 경쟁 차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바 있다. 그는 지난 21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미국 오픈AI와 오라클, 일본 소프트뱅크의 5천억달러 규모 AI 투자사업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중국이 경쟁자이고, 다른 국가들도 경쟁자다"라고 밝혔다.
또 지난 23일 다보스 포럼 화상 연설에서도 미국을 "인공지능과 암호화폐의 세계 수도"로 만들려면 AI에 필요한 에너지 발전을 크게 늘려야 한다면서 "이것(AI)은 매우 경쟁적이다. 중국과 다른 국가들이 있어 매우 경쟁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AI 산업 육성 전략으로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 생산 확대 ▷기업 투자 유치 ▷바이든 행정부의 불필요한 규제 철폐를 주로 언급해왔다. 특히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AI 관련 행정명령이 기업에 부담을 줘 민간 부문 혁신을 억누른다고 보고 지난 23일 폐지를 지시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행정명령은 기업이 국가 안보, 경제, 공중 보건 등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할 경우 정부에 보고할 의무를 부과하는 등 AI의 안전한 사용과 보안을 강조하는 내용이었다. 무분별한 AI 개발이 대량살상무기 연구나 인권 침해 등 위험한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을 정부 차원에서 통제한다는 취지였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경쟁력 확보에 방해가 된다고 판단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AI·가상화폐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딥시크 R1은 AI 경쟁이 매우 치열할 것이며 바이든의 행정명령을 폐지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옳았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그는 바이든의 행정명령이 중국에는 같은 조치를 요청하지 않으면서 미국 기업만 방해하는 규제라면서 "난 미국을 확신하지만 우리는 안주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행정부에 대통령 과학기술보좌관, 인공지능(AI)·가상화폐 차르, 국가안보보좌관 주도로 미국의 AI 지배력을 유지·강화할 'AI 행동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는데 여기에는 관련 규제 완화가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 통제 더 옥죄나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AI 정책과 차별화를 꾀하고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중국 수출통제는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트럼프 행정부가 이런 수출통제를 유지 또는 강화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 중국 통신업체 화웨이가 미국 반도체 등을 구매하지 못하게 하는 등 중국 첨단산업에 대한 미국의 견제를 본격화한 바 있으며, 2기 내각에도 중국에 적대적인 인사들을 대거 포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서명한 '미국 우선주의 무역정책' 각서에서 관계 부처에 전략적 경쟁자에 대한 "기존 수출통제의 구멍을 식별하고 제거할" 방안을 권고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딥시크의 부상으로 중국이 미국의 AI 리더십을 위협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커지면서 트럼프 행정부에 더 강력한 수출통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27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대변인은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이 미국 기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데 실패했으며 중국과 다른 적국이 AI 개발에서 진보할 기회를 만들어줬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지난 25일 엑스에 딥시크가 미국 수출통제를 위반해 엔비디아 반도체 5만여개를 갖고 있다는 언론 보도를 근거로 특위가 작년 12월 상무부에 반도체 수출통제의 허점에 대해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수출통제 방향을 가늠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가 임기 막바지에 발표한 AI 수출통제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을 주시하고 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18개 동맹을 제외한 세계 대부분 국가에 구매할 수 있는 AI 반도체에 상한을 설정하고, 중국·러시아 등 20여개 '우려 국가'에 수출을 금지한 수출통제를 지난 13일 발표했다.
이 수출통제 규정은 120일의 의견 수렴을 거쳐 확정되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에서 최종 내용과 시행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 트럼프 美 기업 경종 울려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에 대해 "미국의 산업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의 자신의 골프클럽에서 진행 중인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에서 행한 연설에서 "중국의 일부 기업은 더 빠르고 훨씬 저렴한 인공지능 방법을 개발하기를 원한다. 그렇게 되면 돈을 많이 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좋은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나는 그것이 긍정적인 일이고 자산이라고 본다. 그것(딥시크의 AI 개발)이 정말 사실이고 진실이라면, 나는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왜냐하면 여러분도 그렇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면 돈을 많이 쓰지 않고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는 대신 적은 비용을 지출하게 될 것이고,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 같은 설루션을 찾길 바란다"고 했다.
그는 "지난주에 조 바이든의 파괴적인 AI 규제를 철회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AI 기업들이 다시 한번 최고가 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됐다"면서 "우리는 기술 기업을 최대한 활용해 전례 없는 방식으로 미래를 지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