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 있는 분들이…노력해야 할 시점에 비난하면 되나, 답답"
"최 권한대행 어려운 결정으로 경제 안정 토대 마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관 임명에 반발한 국무위원들을 향해 "고민 좀 하고 이야기했으면 좋겠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2일 이 총재는 "최 권한대행의 어려운 결정으로 이제 대외에 '우리 경제 운영이 정치 프로세스와 분리돼서 간다. 한국 경제는 튼튼하다'는 메시지를 내려고 하는데, 여기에 책임 있는 사람들이 (최 권한대행을) 비난하면 그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하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최 권한대행이 지난달 31일 국회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 중 2명을 임명한 것에 대해 '사령탑 줄 탄핵' 가능성은 줄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최 권한대행의 결정을 비난하는 사람이 많은데, 최 권한대행이 (그런 결정을) 하지 않았을 때 우리 경제가 어떻게 되고, 우리 정부가 한동안 기능할 수 있을지를 이야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과 총리가 탄핵당한 상황에서 또 탄핵이 이어지면 과연 정부가 작동할 수 있느냐"며 "정치적 위험은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는데, 신용등급은 한 번 내려가면 다시 올리기 굉장히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 권한대행의 결정으로 경제를 안정시킬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며 "최 권한대행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우리나라를 위해 최 권한대행을 도와주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답답한 것이, 이게 다 주어진 것이 아니고 노력해야 하는데, 그 노력해야 할 시점에 (그런 결정을) 왜 하느냐고 막으면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 총재는 1월 통화정책 방향 회의와 관련해 "아무것도, 어느 방향으로도 결정된 게 없다"며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 3∼4일 전까지도 데이터를 보고 금통위원들과 이야기를 나눠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 금통위 이후 소비 심리 지표가 나쁘게 나왔는데 소비 데이터가 심리만큼 나쁜지, (최 권한대행의) 결정으로 외환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지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총재는 경제 현안과 관련, 최 권한대행과 수시로 소통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총재가 지난해 9월 한은 총재로서 처음으로 기획재정부를 방문해 구조 개혁 방안을 논의하는 등 그동안 다져온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라는 게 주변 평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