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 181명을 태우고 태국 방콕을 출발해 전남 무안으로 입국하던 제주항공 7C 2216편이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 울타리 외벽과 충돌하는 대참사(大慘事)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탑승자 181명 중 구조된 2명 빼고, 대부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여객기 동체는 거의 파손됐고, 사망자들의 신원 확인이 어려운 상태라고 한다. 청천벽력(靑天霹靂) 같은 소식에 탑승자 가족과 국민들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
이 여객기는 무안공항 활주로에 접근해 1차 착륙을 시도하다 정상 착륙이 불가능해 복행(go around)해 다시 착륙을 시도하다 사고가 났다. 동체(胴體) 착륙을 시도한 항공기는 활주로 끝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했고, 공항 울타리 외벽과 충돌 후 동체가 파손되면서 불이 났다. 사고 여객기는 랜딩 기어가 내려오지 않아 동체 착륙을 시도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여객기 대형 사고는 처음이 아니다. 1993년 7월 66명의 사망자를 낸 아시아나 여객기의 전남 해남 사고, 1997년 8월 228명이 숨지고 26명이 중상을 입은 대한항공 여객기의 괌 국제공항 인근 추락 사고, 2013년 7월 3명의 사망자와 182명의 부상자를 낸 아시아나항공 여객기의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 사고 등은 아직도 악몽(惡夢)으로 남아 있다.
무안공항 참사는 저비용항공사(LCC) 여객기가 대규모 사상자를 낸 첫 사례다. 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LCC 항공의 안전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사고의 원인은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사고)에 따른 랜딩 기어 고장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국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국내 공항에서 623건의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했다. 버드 스트라이크 예방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항공사의 안전 불감증(不感症)도 문제다. 최근 난기류(亂氣流) 사고, 여압장치(항공기 내부 압력 조절 장치) 고장, LCC의 잦은 고장 및 결함 등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국토교통부의 '항공안전법상 국적사 과징금 처분 현황'을 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국내 8개 항공사에 처분된 과징금은 모두 138억원이다. 이 중 ▷제주항공(37억3천800만원) ▷이스타항공(28억6천만원) ▷티웨이항공(24억3천900만원) 등 LCC 3개사의 과징금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고 발생 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정치권은 참사 소식에 일제히 인명 구조를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해 달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희생자 구조와 사고 수습(收拾)이 가장 먼저다. 또 철저한 사고 원인 규명과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뒤따라야 한다. 그러나 헌정사상 초유의 '대행의 대행 체제'가 우려스럽다. 대통령은 탄핵 가결로 직무 정지됐고, 재난 수습을 총괄할 국무총리와 행정안전부 장관, 경찰청장은 직무대행 체제다. 최 대행은 컨트롤타워 역할이 미비하지 않도록 위기 관리에 만전을 다하길 바란다. 정치권은 사고가 완전히 수습될 때까지 모든 정쟁(政爭)을 멈추고, 정부를 최대한 지원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다시 보이네 와"…참사 후 커뮤니티 도배된 글 논란
"헌법재판관, 왜 상의도 없이" 국무회의 반발에…눈시울 붉힌 최상목
전광훈, 무안공항 참사에 "하나님이 사탄에게 허락한 것" 발언
임영웅 "고심 끝 콘서트 진행"…김장훈·이승철·조용필, 공연 취소
음모설·가짜뉴스, 野 '펌프질'…朴·尹 탄핵 공통·차이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