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대 앞두고 수출 둔화 움직임…중국 대응 경제 전략 시급

입력 2024-12-26 18:30:00 수정 2024-12-26 20:39:47

무역 흑자국 中, 적자국으로 바뀌어…현상 고착화 우려
품목 최종재·소비재 다변화로 해외 내수시장 진출 확대해야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대(對)중국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향후 중국을 배제하는 조치가 본격화되면 국내 경제계에도 직간접적인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마저 하락세 전환하나

한국 경제를 지탱해왔던 수출 관련 지표도 악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1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563억5천만달러(약 78조7천억원)로 집계됐다. 11월 역대 최대 실적이자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수출 증가 폭은 둔화세가 뚜렷하다. 월별 수출 증가율을 보면 8월(10.9%) 이후 9월 7.1%, 10월 4.6%로 하향 곡선을 그리다 11월 1%대로 내려앉았다.

대중 무역수지는 지난해 처음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적자로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장기간 한국의 대표적인 무역 흑자국이었던 중국이 적자국으로 바뀌었고 이 같은 현상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당장 내년 1분기 전망도 밝지 않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25년 1분기 수출산업 경기 전망지수(EBSI) 조사 보고서'를 보면 내년 1분기 EBSI는 96.1로, 4분기 만에 기준선인 100을 하회했다.

EBSI는 작년 4분기 97.2에서 올해 1분기 116.0으로 급등한 이후 2분기 108.4, 3분기 103.4로 하락 추세에도 기준선 위를 지켰으나, 내년 1분기는 부정적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리스크가 현실화할 것이란 우려가 높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제재를 시행하면서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통상 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큰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의 자국 우선주의 심화로 수입 규제가 대폭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가 가장 두드러졌다"며 "반도체를 포함한 주력 품목에서 중국과 경합이 심화되면서 수출 여건이 악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고 설명했다.

◆"中 내수시장 공략·공급망 다변화 필수"

장기적으로 대중 수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대중국 주력 수출 품목을 소비재로 다변화하고 중국 내 내수시장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중국의 중간재 수요뿐 아니라 빠르게 확대되는 소비 시장을 겨냥해 최종재로 주력 수출 상품을 다변화함으로써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 기업이 진출한 지역 외에도 중국 내 중소 도시의 소비층을 확대한다면 수출 증가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다.

미국 정부의 대중 견제 심화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중국이 독과점하고 있는 원자재 가공·제련 기술을 국산화하는 등 연구개발 및 설비 구축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곽동철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그동안 중국에 대한 수출 품목이 중간재에 집중됐다면 이제는 소비재로 전환하는 시도도 필요하다. 중국의 내수시장을 겨냥한 제품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 수출을 확대한다면 국내 기업 입장에서도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곽 교수는 "중국을 공급망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겠지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공급망을 꾸준히 늘리는 한편 기술 내재화를 위한 노력도 요구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