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질병 부담 지속 증가…3년간 연평균 8.4% 증가
만성질환 사망자 27만5천명…전체 사망자 80% 수준
지난해 암,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에 들어가는 진료비가 지난해 90조원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 환자가 늘어난 탓에 만성질환 진료비는 전체진료비의 84.5%를 차지했고,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중 가장 많은 원인은 암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질병관리청은 '2024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2020년 71조원에서 2021년 78조원, 2022년 83조원, 2023년 90조원 등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만성질환 진료비는 2023년 기준 전체 진료비의 84.5%를 차지했고, 3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4%에 달했다. 질병청은 이러한 원인을 노인인구 증가로 보고 있다.
진료비 중에서는 심장 등 순환계통 질환으로 인한 비용이 13조4천억원으로 만성질환 진료비의 14.89%를 차지했다. 이어 근골격계질환 12.9%, 암 11.2% 순으로 비중이 컸다. 단일 질환으로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진료비가 4조4천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2형 당뇨병이 3조1천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또 2023년 기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27만5천183명으로 전체 사망의 78.1%를 차지했다.
10대 사망원인으로는 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자살,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질환, 패혈증, 코로나19 등이었다. 이 중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암(24.2%), 심장질환(9.4%), 뇌혈관질환(6.9%), 알츠하이머병(3.2%), 당뇨병(3.1%), 고혈압(2.3%) 순으로 많았다.
한편, 성인 비만율은 코로나19 유행 기간인 2020년 38.3%로 정점을 찍었다가 소폭 감소해 2021년 37.1%, 2022년 37.2%로 유지되고 있다. 현재 흡연율은 2022년 기준 17.7%로 전년 대비 1.6%P 감소했으며,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는 7잔(또는 맥주 5캔) 이상·여성은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을 주 2회 마신 고위험 음주율은 14.2%로 0.8%P 증가했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53.1%로 5.2%P 높아졌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 부담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만성질환 부담 경감을 위한 전략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