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대위 출범 시 당원게시판 논란 매듭지어야" 목소리

입력 2024-12-17 17:42:59 수정 2024-12-17 20:21:05

韓 사퇴 무관, 문제 제대로 '털고' 가야 한다는 지적
검증 막아서던 수뇌부 교체, 경찰 수사도 진행 중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당 대표직 사퇴 입장을 밝히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당 대표직 사퇴 입장을 밝히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금명간 구성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동훈 전 대표를 둘러싼 '당원 게시판' 논란 역시 비대위 출범과 함께 매듭을 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당무감사를 막아섰던 한 전 대표 등 수뇌부가 일제히 물러난 상황에서 묵은 갈등의 씨앗은 가급적 빨리 털고 가야 한다는 취지다.

17일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 전 대표와 그 가족 명의로 국민의힘 당원게시판에 윤석열 대통령 내외 비판글이 다수 올라왔다는 '당원 게시판' 논란은 언제든 수면 위로 올라올 수 있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냉각기를 갖자'는 발언과 '비상계엄' 후폭풍 속에 문제제기가 잦아들었을 뿐, 제기된 의문들이 여전히 해소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 전 대표가 대표직에서 내려왔다고 해서 이 문제를 묻어둔다면 언제든 다시 분열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는 것.

한 전 대표가 대표직에서 내려오면서도 '권토중래'를 예고하는 발언을 내놓은 점 역시 친윤계를 중심으로 '당원 게시판' 문제를 다시 거론하게 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대표는 지난 16일 사퇴의 변으로 지지자들에게 '저는 포기하지 않는다'거나 '제가 여러분을 지키겠다'고 얘기하는 등 향후 대권 도전 등 정치 행보를 곧바로 이어갈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친윤계로서는 비대위 출범과 함께 당원게시판 문제를 다시 도마 위에 올림으로써 한 전 대표의 행보를 견제할 수 있다. 앞서 당내에서는 '당무감사를 통해 의혹을 빠르게 해소하면 될 일'이라는 주장이 빗발친 바 있다. '개인정보 보호' 등 이유를 들어 당무감사 요구를 막아섰던 서범수 사무총장도 사퇴했다.

새로 출범할 비대위는 윤 대통령 내외 비방글 작성자가 한 대표나 그 가족으로 확인된다면 이를 구실로 당원권 정지 등 징계에 나설 수 있다. 이와 함께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에 반기를 든 것에 대해서도 징계가 가능하다는 언급이 나온다.

친윤 인사로 꼽히는 신평 변호사도 지난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동훈의 미래'라는 글을 올리고 당원 게시판 문제를 거론했다. 신 변호사는 "당 대표를 사퇴한 그(한동훈)가 맨 처음 맞닥뜨려야 할 과제는 향후 전개될 대선정국이 아니라 '국민의힘 당원게시판 댓글사태'"라고 주장했다.

당원게시판 관련 경찰 수사 역시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 내 비방글과 관련해 고발 7건, 진정 1건 등 총 8건을 병합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대표가 법무부 장관 시절 댓글팀을 운영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고발인 조사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