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영유아 중심으로 확산

입력 2024-12-16 10:05:07

대구시 "'콜록 콜록, 쌕-쌕-' 숨소리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

대구의 한 아동병원이 진료를 받으러 온 어린이와 부모들로 북적이고 있다. 매일신문 DB
대구의 한 아동병원이 진료를 받으러 온 어린이와 부모들로 북적이고 있다. 매일신문 DB

대구시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입원환자 수가 6주 연속 증가하면서 대구시가 시민들에게 주의를 강조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16일 대구시는 표본감시로 신고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입원환자 수가 6주째 증가 중이며 전체 입원환자 수 대비 영유아(0~6세) 입원환자 수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RSV 감염증은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유행하는 호흡기 감염병이다. 일반적인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영유아가 감염될 경우 보챔, 수유량 감소, 쌕쌕거리는 숨소리, 재채기, 무호흡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시기를 놓치거나 일부 영유아, 면역저하자, 고령자 등 호흡기 질환 고위험군의 경우 심해지면 세기관지염, 폐렴 등 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조기 진료와 적절한 시기의 치료가 강조된다.

전국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표본감시 입원환자 수. 대구시 제공.
전국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표본감시 입원환자 수.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산후조리원, 보육시설 등은 감염에 취약한 영유아가 집단생활을 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감염예방을 위한 직원 및 방문객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산후조리원의 경우 입소 환아가 1명이라도 발생했다면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해 추가 전파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산후조리원 및 보육시설 근무자는 신생아 및 영유아 접촉 전·후 손 위생을 철저히 하고, 근무 시 마스크, 장갑, 가운 등 개인보호구를 착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은 돌봄 업무에서 배제시키고 증상이 있는 방문객은 출입을 제한시켜야 한다.

정의관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현재 여러 관계기관과 대책을 논의하고 감염 예방수칙 홍보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개인 위생 수칙과 호흡기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시기를 시민들께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신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장(경북대병원 감염내과 교수)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는 모든 연령층에서 흔하게 감염되는 질환이지만 신생아, 영유아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며, "현재 영유아에게 투여 가능한 백신이 없어서 증상을 조기에 인지하고 적절한 시기에 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