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표결 두고 친박-비박 대결
8년 후 친한-친윤 나뉘어 감정 다툼…14일 탄핵안 부결 장담 못해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이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과 닮았다는 분석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탄핵이라는 절체절명 위기 앞에서도 친윤(윤석열)계와 친한(한동훈)계가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분열 상황이 "2016년과 똑 닮았다"는 자조섞인 분석이다.
탄핵 위기가 고조되던 2016년 11월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제3차 대국민 담화에서 임기 단축과 퇴진에 관한 논의를 국회에 맡긴다고 했다. 이는 윤 대통령이 지난 7일 담화에서 임기와 정국 안정 방안을 당에 일임하겠다고 공언한 것과 닮았다.
이 당시 새누리당 지도부는 탄핵은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며 '질서 있는 퇴진'을 주장했다. 직후 비박계 김무성 의원 주도로 '4월 퇴진, 6월 대선' 방안이 당론으로 정해졌다.
그런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관한 검찰 중간수사 결과가 나오고 국민 여론이 크게 악화되자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대통령 탄핵 찬성 의사를 밝혔다. 탄핵안 표결 당일 새누리당은 자율투표를 실시했고, 60여명의 이탈표가 나오면서 탄핵안이 가결됐다.
이런 전개상이 현재 국민의힘과 많이 흡사하다는 것이다.
국민의힘도 지난 7일 1차 탄핵 표결 당시 윤 대통령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하고, 대다수 의원이 표결에 불참하는 방법으로 대통령 탄핵을 저지했다.
14일 탄핵안 재표결을 앞두고 여당 다수 의원들은 탄핵안에 반대하고 있지만, 조경태 등 의원 5명이 탄핵안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여당 의원 108명 가운데 8명만 찬성 투표를 하면 탄핵 소추안은 가결되는데, 표결에 참여한다는 의원은 늘고 있다. 2016년과 같이 국민의힘은 '질서 있는 퇴진'을 외치지만, 여론에 밀려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8년 전 친박계와 비박계가 충돌했던 것처럼, 이번엔 친한계와 친윤계가 충돌하고 있다.
친윤계 등 중진의원들은 비상계엄 사태 수습 과정을 두고 계엄 해제안 표결에 적극 동참한 한 대표에 대한 불만이 큰 상황이다. 반면 친한계는 한 대표 지시에 소극적이었던 여당 의원들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있다.
추경호 원내대표 사퇴를 두고 이를 만류하는 친한계와 친윤계가 충돌했다. 새 원내대표 선임을 두고도 당이 양분하는 모양새다.
대통령 탄핵 정국이 지나고도 당은 '불신의 늪'에 빠져 갈라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017년 보수 진영이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으로 쪼개져 대선을 치른 것과 같은 상황이 2025년에 펼쳐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권 관계자는 "당이 다시 화합하기 어려울 정도라는 평가가 나온다"며 "다만 과거의 실패 사례를 목격했던 여당 의원들이 험한 길에 제 발로 나설지는 미지수"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홀로 투표한 안철수 "당내 비난에도…소신 따라 결정한 것"
정유라, 이채연에 이어 연예계 저격…"여태까지 관심 없다가"
홍준표 "尹, 끝까지 당당하게 처신하라…마지막 당부"
무책임 尹, 헤매는 與, 폭주 巨野…불안하고 답답한 국민들
이준석 "한동훈 '소통령' 행세하고 싶어 안달…후계자 자처 딱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