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5일 밤 친윤계와 비공개 회동…추경호·권성동·권영세 등 만나

입력 2024-12-06 22:25:41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지난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후 윤석열 대통령의 침묵이 길어지는 가운데 친윤(친윤석열)계인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와 권성동, 권영세 의원 등이 5일 윤 대통령을 만나 '12·3 비상계엄 사태' 수습 방안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6일 동아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추 원내대표를 포함한 친윤계는 5일 저녁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비공개로 회동했다. 이들은 티타임을 가지면서 정국 수습 방안에 대해 논의했는데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임기 단축 개헌 등이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친윤계의 이같은 의견에도 윤 대통령은 별다른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계엄 해제 후 큰 입장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오는 7일 오후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을 예고한 가운데 친한동훈계가 국회의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해 찬성표를 던지겠다는 뜻으로 읽혀진다.

한 대표는 이날 아침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긴급최고위원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불법계엄이 잘못이라고 인정하지도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의 직무를 계속 수행할 경우 이번 비상계엄과 같은 극단적 행동이 재현될 우려가 크다"며 이렇게 말했다.

한 대표는 "계엄령 선포 당일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 등을 반국가세력이란 이유로 고등학교 후배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체포하도록 지시했던 사실, 대통령이 정치인 체포를 위해 정보기관을 동원했던 사실을 신뢰할 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그렇게 체포한 정치인들을 과천의 수감 장소에 수감하려 했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있었던 것도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저는 어제 준비 없는 혼란으로 인한 국민과 지지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이번 탄핵에 대해 통과되지 않게 노력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새로이 드러나고 있는 사실 등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한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