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도난당한 후 지난해 6월 시카고대학 미술관 소장 중인 것 확인
조계종 등 직접 반환 요청한 끝에 조건없는 반환 결정
국보급 조선 불화(佛畵) '신중도'가 도난 35년 만에 경북 예천 보문사로 귀향한다.
대한불교조계종은 미국 시카고대학교 스마트 미술관이 보유 중인 신중도를 돌려받기로 합의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소장처인 미술관은 조건 없이 자발적으로 반환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래 예천 보문사에 있던 신중도는 1767년 혜잠 스님이 그린 불화다. 화면 좌우에 제석천과 위태천을 크게 배치한 매우 독창적인 구성이 돋보인다. 우수한 화풍과 구성의 희소성 등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불화 중 하나다.
신중도는 보문사 극락보전에 봉안돼 있었으나, 혜잠 스님이 그린 아미타불회도·삼장보살도 등과 함께 1989년 6월 5일 도난당했다. 이후 신중도를 제외한 두 점은 2014년 국내에서 환수돼 보문사로 돌아왔다.
조계종은 신중도가 국가지정유산 보물 가치를 인정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당시 함께 도난됐다 환수 후 보물로 지정된 삼장보살도에 준하는 가치를 가졌다는 설명이다.
신중도 반환을 위한 노력은 지난해 6월부터 시작됐다. 당시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미국 소재 한국 문화유산 현황을 조사하던 중 신중도가 이 미술관에 소장돼 있다는 것을 처음 확인하고 대한불교조계종에 이 사실을 알렸다.
이후 조계종은 신중도 반환을 위해 보문사에 봉안돼 있다가 도난당한 불화란 사실 등을 적극적으로 미술관 측에 설명해왔다. 조계종이 미술관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시카고 주재 한국총영사관이 함께 힘을 보태며 끝내 미술관 측으로부터 조건 없는 반환을 약속받았다.
시카고대학 스마트 미술관 측은 '신중도를 원래 자리로 되돌려 종교적인 가치를 회복한다는 취지'에 공감하고, 국제미술관협의회(ICOM) 윤리 강령 등을 준수하는 차원에서 반환을 결정했다고 조계종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계종은 "신중도 도난의 역사와 종교적 가치를 충분히 인식하고 반환이라는 중요한 결정을 해준 시카고대학교와 스마트미술관 측에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제자리를 떠난 모든 성보가 본래의 자리로 환지본처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