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승 의원 "건강불평등의 시작, 국가 차원에서 비만 예방·관리 체계 마련해야 "
비만 인구가 계속 늘어나면서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는 현실에 대응하고자 국회에서 '비만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비만기본법)이 발의됐다.
19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비만기본법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비만기본법의 골자는 ▷비만예방관리 기본계획 수립 ▷비만에 관한 실태조사 ▷비만예방관리위원회 설치 ▷비만 예방·치료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비만예방 및 관리를 위한 조사·연구 사업 시행 ▷비만예방의 날 지정 등이다.
박 의원은 제안 이유에 대해 "비만은 그 자체로 만성질환의 원인이라는 인식과 전문적 치료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치료대상이 아니라는 인식이 높다"며 "만성질환의 원인인 비만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비만예방 및 관리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대한비만학회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성인 남성 비만 유병률은 49.2%로 2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2012년 10.4%에서 2021년 25.9%로 약 2.5배 증가했고, 여자는 2012년 8.8%에서 2021년 12.3%로 약 1.4배 증가했다.
비만에 의한 사회적 비용도 증가 추세에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에 따르면,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2021년 기준 15조 6천억원을 넘어서는 등 연평균 7%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박 의원은 "사회적 비용을 산출해보면 비만은 흡연(11조4천206억원), 음주(14조6천274억원) 보다 높아 건강보험 재정에 더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최근 성인은 물론 아동·청소년 비만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성별, 연령별, 소득수준, 지역별 비만 유병률의 격차도 커지고 있다"며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나 손실 등을 고려할 때 국가 차원에서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률적,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