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특별감찰관 임명을 공개적으로 대통령실에 요구했다. 이에 앞서 한 대표는 21일 윤석열 대통령과 면담에서 김건희 여사 문제 3대 해법을 제시하며 대통령 친인척 비위 감찰 담당 특별감찰관 수용을 건의했다. 윤 대통령에게 직접 요구한 사안을 이틀 뒤에 공개적으로 반복한 것이다. 거의 스토킹 수준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해 "매우 중요한 사안이기에 관련 위원회의 위원들과 중진 등 많은 의원의 의견을 우선 듣고 최종적으로는 의총을 통해서 결정해야 할 부분"이라며 한 대표와 상의한 적 없다고 덧붙였다. 한 대표는 당내 의견 수렴도 거치지 않은 채 마구 던진 셈이다. 도대체 이러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더 심각한 것은 한 대표가 윤 대통령과의 회동 이후 대통령실을 향해 "용산은 지금 말의 각색을 할 때가 아니라 김건희 여사 관련 3대 제안에 대해 예스(yes)냐 노(no)냐를 말할 때"라고 측근들에게 말했다는 것이다. '예스냐 노냐'는 표현은 적에게 내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구사하는 위협이다. 한 대표 생각에 김 여사 문제 해결이 아무리 화급하다 해도 이런 표현까지 써야 하는지 의문이다.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서도 "더불어민주당이 내놓은 특검법이 이상하지만 대통령실이 여사에 관해 선제적이고 과감하게 이슈를 해소하지 않고는 어려운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이달 초 특검법 재표결에서 당내 이탈표가 4표에 그쳤지만 법안이 또 올라오면 추가 이탈이 우려된다는 경고다.
모든 노력을 기울여 추가 이탈을 막아야 할 여당 대표가 추가 이탈을 경고하는 참으로 희한한 광경이다. 김건희 특별법은 독소 조항이 가득해 위헌 시비가 있다. 그렇다면 이런 문제를 널리 알리고 김건희 특검법을 막는 데 주력하는 게 여당 대표가 해야 할 일 아닌가. 의혹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기정사실로 치부(置簿)해 특검으로 가자는 것이 야권의 정치적 술수다. 한 대표의 언행은 스스로 그 술수에 말려들겠다는 것밖에 안 된다는 소리를 들어도 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