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탓 이란 강경파 득세" vs "핵합의로 이란 돈만 더 벌어"
이스라엘·이란 갈등 격화일로 속 대선승부 변수로 번질지 주목

중동위기의 책임을 두고 미 대선판에서 논쟁이 일고 있다.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2018년 이란핵합의 탈퇴가 이란 내 강경파 득세, 핵 프로그램 가속을 불렀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이란은 2015년 미국, 프랑스, 영국, 러시아, 중국, 독일 등 6개국과 핵 프로그램 동결 또는 축소를 대가로 서방의 경제제재를 해제하는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 서명했다.
그러나 2018년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폐기했고, 이란도 탈퇴를 선언한 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을 제한하고 우라늄 농축 농도를 높여왔다.
현재 미국 당국자들은 이란의 핵 개발 수준에 대해 핵폭탄에 사용할 수 있을 만한 핵물질을 만드는 데는 수주 정도면 가능하지만 폭탄을 만드는 데는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추정한다.
이란핵합의를 주도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을 비롯한 민주당에서는 이란의 위협이 가중된 게 트럼프 전 대통령 때문이라고 비판한다.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가안보 부보좌관을 지낸 벤저민 J. 로즈는 "이란이 핵 합의에서 탈퇴하기로 한 결정이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서 가드레일을 없애고 이란이 더 대립적이고 강경한 노선 대신 다른 노선으로 나아갈 동기를 제거했다는 것은 명백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공화당을 비롯한 보수 진영에서는 이 지적에 반대하며 이란핵합의가 출발부터 잘못된 것이었다고 주장한다고 NYT는 전했다.
이들은 이란핵합의가 이란에 지역 테러리즘에 돈을 댈 수 있도록 현금을 제공했으며, 일시적인 제한으로 시간을 벌어줬다고 비판한다.
보수 성향의 분석가 앤드루 매카시는 지난주 보수 매체 '내셔널 리뷰'에 기고한 글에서 핵 합의 때 오바마 당시 대통령과 조 바이든 당시 부통령이 "이란이 탄도 미사일 개발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 협상을 설계했고, 그것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핵 합의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 합의가 이란과 서방이 수십년간의 적대적 관계를 넘어 평화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한다.
NYT에 따르면 당시 미국 측 협상팀은 핵 합의가 이란의 온건파에게 힘을 실어줘서 이란 경제가 개방되고, 서방의 투자와 영향력이 확대돼 자유화되기를 원했다.
그러나 2018년 미국 안보 당국자들과 국제 모니터링 단체들이 확인한, 이란이 합의를 지키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한 채 트럼프 전 대통령이 파기를 선언하고 이란에 경제 제재를 대거 부과하면서 이 같은 가능성이 무산됐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