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 "UAE 정부, 국부펀드 통해 AI 투자 확대"
기술적 장벽·미국의 중국 견제가 걸림돌 작용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1·2위인 대만의 TSMC와 삼성전자가 아랍에미리트(UAE) 현지 반도체 공장 건립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두 기업이 대형 반도체 제조공장을 건립하는 방안을 UAE 측과 각각 논의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TSMC 최고 경영진들은 최근 UAE를 방문해 반도체 제조 복합시설을 건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논의된 공장 규모는 현재 대만 내 TSMC 제조공장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첨단 공정이 적용된 시설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WSJ은 다른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 역시 향후 몇 년 내 UAE에 새 반도체 제조시설을 건립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 고위 인사도 최근 UAE를 방문해 해당 계획의 가능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장 설립 프로젝트 자금은 UAE 국부펀드인 무바달라를 중심으로 UAE 측이 대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규모는 1천억 달러(약 134조원)에 육박한다고 WSJ는 밝혔다.
이번 논의의 포괄적인 목표는 글로벌 반도체 생산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만, 제조사의 수익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칩 가격 하락을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무바달라 측은 올해 초 아랍에미리트가 인공지능(AI)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위해 설립한 국영 투자기업 'MGX'를 설립했다. 향후 AI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도체 생산시설을 투자전략의 한 축으로 세우고 "전 세계 파트너들과 정례적으로 대화를 지속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UAE 내 반도체 제조시설을 설립하는 것과 관련해 현시점에서 구체화된 계획은 없다고 부연했다.
무바달라는 작년 말 기준 투자자산 규모가 3천억 달러(약 400조원)에 달하는 대형 국부펀드로 최근 AI 투자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WSJ는 공장 설립 논의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기술적 장벽을 비롯해 다른 장애물에 직면할 수 있어 실제 프로젝트는 성사되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대규모 정제수가 필요하고, 공장 운영을 담당할 UAE 내 전문인력이 부족한 점이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의 중국 유입을 막고 있다는 점도 우려사항 중 하나다. TSMC와 삼성전자는 공장 설립 방안을 검토하면서 UAE 시설의 반도체 생산 및 물류 과정을 미 정부가 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을 바이든 행정부 관료와 논의했다고 WSJ는 전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WSJ에 "우리는 지난 2년 간 UAE와 첨단 기술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협력해왔으며, 파트너십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