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온·오프라인 식품 시장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외식 물가 급등으로 '집밥' 수요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연간 온라인 식품 거래액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황 부진에 시달리는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서도 식품은 호황을 누리고 있다.
23일 통계청의 온라인쇼핑 동향 조사에 따르면 올해 1∼7월 온라인 식품 거래액은 27조7천896억원으로 전년 동기(22조7천879억원)대비 21.9% 늘었다. 이는 해당 기간 역대 최고치다.
같은기간 가공식품 위주인 음식료품은 16조8천801억원에서 19조4천749억원으로 15.4% 늘었고, 농·축·수산물도 5조9천78억원에서 7조3천147억원으로 23.8% 뛰었다.
올해 들어 온라인 식품 거래액은 월평균 4조원에 육박한다. 연간 기준 50조원을 돌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온라인 식품 거래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17조1천698억원에서 코로나19 원년인 2020년에 25조1천172억원으로 46% 증가한 데 이어 2021년 31조2천476억원, 2022년 36조1천408억원, 지난해 40조6천904억원 등으로 매년 10∼20%대 성장률 유지했다.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며 온라인에서 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졌고 온라인 식품 구매도 하나의 소비 형태로 자리 잡는 추세다. 최근에는 치솟은 외식 물가 탓에 집밥 수요가 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온라인 식품에 대한 수요가 더 뚜렷해졌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의 유통업 매출 통계를 보면 올해 1∼7월 온라인 식품 부문의 지난해 대비 월평균 매출 증가율은 23.1%로 전체 온라인 유통 매출 증가율(17.5%)을 웃돈다. 의류와 화장품, 가구, 가전 등을 포함한 9개 주요 상품군 중에서도 성장률이 가장 높다.
주요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서도 식품 부문은 선전을 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백화점에서 지난해 동기 대비 식품 매출 증가율은 7.1%로 비식품(5.0%)을 뛰어넘었다. 비수기인 2분기에도 식품 매출은 3.5% 늘어 0.1% 증가에 그친 비식품과 대조적이다.
대형마트에서도 비식품이 1분기(-4.9%)와 2분기(-9.2%) 연달아 역성장하는 와중에도 식품은 8.2%, 0.8% 각각 매출을 늘리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