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 탓 집에 있는 시간 길어져...에어컨 실외기 소음도 문제
관리사무소·경찰 현장 개입 실효성 떨어지고 '그때 뿐'
"'층간소음 관리위원회' 역할 커져야" 목소리도
기록적인 폭염과 학생들의 방학이 맞물리면서 공동주택 내 각종 소음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민원을 제기 받는 지자체와 경찰도 계도활동 외에는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최근 대구 달서구의 한 아파트로 이사한 안모 씨는 위층에서 시작된 소음으로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원래는 노부부만 살던 집이었지만 방학을 맞아 5살쯤 되는 손자가 자주 드나들기 시작하면서 쿵쿵거리는 소리가 온 집에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안 씨는 "우리집에도 올해 수능을 보는 수험생을 포함해 3명의 자녀가 있는데, 소음이 줄어들 생각을 안 한다"며 "관련 법을 찾아보니 직접 올라가지 말고 관리사무소를 통해야 한다고 하길래 간접적으로 여러 번 피해를 호소했지만 나아지는 게 없었다. 구청이나 경찰에 얘기해도 마찬가지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안 씨 외에도 최근 지역 커뮤니티에는 공동주택 내 소음 피해를 호소하는 게시글이 잇따르고 있다. 폭염과 방학이 겹치면서 자연스레 야외활동이 줄고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다 보니 그만큼 세대 간 갈등도 더욱 심해지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폭염 영향으로 단순 층간소음 외에 에어컨 실외기 소음도 주요 갈등 대상이 되고 있다.
북구의 한 구축 아파트에 거주하는 최모 씨는 "요즘 에어컨을 켜두고 자는데 그때마다 아래층에서 실외기가 시끄럽다고 연락이 온다"며 "오래된 에어컨이 아니라 소음이 그리 크지도 않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판단이 안 선다"고 호소했다.
공동주택 내 소음피해를 주장하는 이들은 대부분 관리사무소와 경찰 또는 지자체 등에 민원을 접수한다. 하지만 이들이 현장을 가더라도 그때만 잠시 조용해질 뿐 다시 갈등이 격화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정부는 환경부 산하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를 운영하며 소음측정 등 관련 상담을 통해 갈등 중재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차상곤 주거문화개선연구소장은 "층간소음 문제는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기보다 민원 발생 시 신속대응, 꾸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한 갈등"이라며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의 경우 인력 한계 등으로 대응 및 관리에 한계가 있다. 500가구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층간소음관리위원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