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北, 美 대선 전후로 7차 핵실험 가능성"

입력 2024-07-30 14:19:12 수정 2024-07-30 20:53:55

신원식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신원식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신원식 국방장관이 미국 대선(11월 5일)을 전후해 북한이 핵 도발에 나설 가능성에 우려를 표했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한미일 국방장관 회담을 위해 일본을 방문 중인 신 장관은 전날 도쿄에서 이 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은 결단만 내리면 가능하도록 핵실험 준비를 마친 상태"라면서 "미국과의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이 결정이 미국 대선을 전후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은 그간 주요 정치적 계기마다 무력 도발을 협상의 지렛대로 삼는 전략을 구사해 왔다.

신 장관은 또 최근 북·러 협력과 관련해 "북한은 1만2천개의 컨테이너를 러시아로 보내고 있다"면서 "이는 포탄으로 치면 최대 560만발 분량"이라고 말했다. 앞선 6월에는 신 장관이 최대 480만발이라고 추정했는데, 이번 발언은 최근까지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을 계속해서 건네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신 장관은 "러시아는 로켓뿐 아니라 북한이 원하는 재래식 무기 현대화와 관련된 기술적 지원을 할 수 있다고 본다"면서 "차후에 이런 기술이 북한으로 어떻게 이전되고, 실제 북한 무기 체계의 변화로 이어지는지를 면밀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신 장관은 한미일 3국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체계와 관련해 구체적인 작전 예규(SOP)를 수립하고 있음을 전했다. SOP는 각 부대가 실전에서 적용할 구체적 작전 절차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신 장관은 미국을 연결 고리로 한 한일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한국이 전선에서 방어막을 제공할 때 한층 안전하다"면서 "한국 입장에서도 일본으로부터 후방의 지지막을 보장받을 때 한층 강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미일 3국은 28일 도쿄에서 첫 3국 국방장관 회의를 열고 '안보협력 프레임워크(TSCF) 협력각서'를 체결했다. 이는 한미일 공동 군사 훈련인 '프리덤 에지' 정례화 등을 명시한 국방 당국 간의 첫 문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