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기 대비 10포인트 하락해 89 기록…전년 동기 대비 2포인트 감소
국내 제조기업 대다수가 올해 3분기 전망을 부적정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24년 3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에 따르면 전 분기 전망치(99) 대비 10포인트(p) 하락한 89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2천238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BSI는 기준치(100) 이하이면 해당 분기 전망을 부정적으로 본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기준치 이상의 경우 그 반대로 해석한다.
매출액 중 수출 비중 50%를 기준으로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을 구분할 경우 3분기 전망치 88로, 수출 기업 전망치(94) 대비 6p 낮게 조사됐다.
반도체 3분기 전망치는 122를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8p 상승했다. 반도체는 3분기 경기 전망이 기준치 이상인 데다, 전 분기 대비 상승한 유일한 업종이다.
의료·정밀기기와 전기장비 업종의 3분기 경기 전망은 각각 108과 101로 집계됐다. 다만, 전 분기 대비 각각 11p, 16p 하락했다.
이밖에 전통 제조업 분야의 업황 부진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 전망치를 살펴보면 철강 79, 정유·석유화학 85, 비금속광물 67로 집계됐다.
전체 업종 가운데 하락 폭이 가장 큰 업종은 제약 업종으로 전 분기 기준치를 넘어선 105로 나타났으나, 3분기 27p 내린 78로 조사됐다. 의료 파업에 따른 수주 감소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이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했다는 게 대한상의 측의 해석이다.
상반기 영업 실적이 목표치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은 60.9%에 달했다. 지난해에도 기업 62.4%가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48.8%) ▷ 중견기업(48.6%) ▷중소기업(63.3%)으로 나타났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책 마련과 함께 중국의 저가 공세 속에서 전통 제조업의 수출길을 터줄 수 있는 수출시장별 틈새 전략을 민관이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