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월까지 LPG차 등록 7만대 육박…지난해 등록 대수 훌쩍 넘어

입력 2024-06-16 15:14:12 수정 2024-06-17 05:44:30

올해 시행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른 1t 경유 트럭 신규 등록 금지 영향

서울 시내의 한 LPG 충전소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의 한 LPG 충전소 모습. 연합뉴스

올해 5월까지 판매한 LPG차량 규모가 지난해 전체 판매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자동차산업모빌리티협회(KAMA)와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월 LPG차(승용·승합·화물·특수)는 총 6만9천208대 등록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년 동안 총등록 대수는 6만7천453대로 2.6% 초과했다.

올해 월별 LPG차량 등록 대수를 살펴보면 ▷1월 1만3천259대 ▷2월 1만1천799대 ▷3월 1만3천382대 ▷4월 1만4천905대 ▷5월 1만5천863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달 대비 110%~200% 수준으로 증가한 수치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올해 LPG차 등록 대수는 16만6천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4년 이후 최대치다.

올해 5월까지 등록된 전체 신차 가운데 10.12%가 LPG 차량으로 집계됐다. LPG차가 신규 등록 차량의 10%를 넘어선 건 지난 2010년 초반 이후 처음이다.

LPG차량 등록대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 지난 2006년 19만대를 초과한 뒤, 10년전인 2014년 처음으로 15만대 이하로 감소했다. 2022년에는 10만대 벽마저 무너지면서 8만6천345대에 불과했다.

이처럼 LPG차가 크게 늘어난 것은 올해부터 시행한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라 1t 경유 트럭의 신규 등록이 금지된 영향이 주요했다.

실제로 올해 5월까지 등록된 전체 신규 차량 중 경유차 차량 등록 대수(5만8천477대)는 8.6%에 불과했다. 업계에서는 경유차 등록 비중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첫 해가 될 수 있다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완성차 브랜드도 디젤 엔진 트럭을 단종하고 LPG 엔진을 탑재한 트럭을 선보이면서 이같은 현상이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각각 포터, 봉고 모델 신차를 출시하며 기존 디젤 엔진 대신 LPG터보 엔진을 탑재했다. 현재 이 모델들은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오해 1~5월 포터2, 봉고3는 각각 2만9천대, 1만8천대가 판매됐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소형 트럭은 높은 출력과 경제적인 연료비로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에 인기가 많다"며 "연간 10만대 판매되는 스테디셀러 차종으로 LPG차 증가세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