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보호와 선택권 보장 사이 균형 필요
해외 직구 물품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 직구 물품의 국가통합인증마크(KC)를 의무화하겠다는 정부 발표에 일부 소비자들은 과도한 규제라며 반발에 나섰다. 취미 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합리적 소비를 위해 해외 직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21일 이커머스 업계에 따르면 직구는 2000년대 후반 붐이 일기 시작해 지금은 소비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일상 소비 플랫폼이 됐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해외직구 이용 인구는 1천308만명으로 20∼50대 전체 성인 인구(약 3천20만명)의 43%에 달한다.
직구 초기 이를 주도한 소비자는 '육아맘'들이었다. 국내에 정식으로 수입·유통된 제품 대비 거의 반값인 직구의 가격 이점에 카페 등 커뮤니티를 만들어 해외 유명 브랜드 상품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 구매를 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직구 대상은 육아용품을 넘어 패션, 뷰티, 생활용품, 가전 등 거의 모든 품목으로 확대됐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해외 직구 품목 중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비중이 45.7%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음·식료품(22.2%), 가전·전자·통신기기(6.3%), 생활·자동차용품(6.2%), 화장품(4.8%), 스포츠·레저용품(3.8%) 등 일상에서 사용하는 품목들이 다수다.
이후에도 고물가 시대를 지나면서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가 소비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된 소비자들에게 해외직구는 정식 유통 되는 물품에 비해 저렴한 값에 구매할 수 있어 합리적인 소비 창구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직장인 강모(53) 씨는 "해외 유명 브랜드 의류를 해외 직구로 사면 백화점 가격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며 "정품 인증도 쉽게 할 수 있어 즐겨 이용해왔다"고 말했다.
피규어·인형·프라모델 수집 등 '키덜트(Kidult·어린이의 감성을 즐기는 어른)' 취미를 가진 일부 마니아들에게 해외 직구는 원하는 제품을 살 수 있는 유용한 통로이기도 하다.
키덜트족들이 모여있는 인터넷 카페 등에서는 피규어 등이 아동용 물건으로 분류돼 국내에서 구할 수 없게 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쏟아지기도 했다. 한 피규어 카페에 글을 올린 누리꾼은 "피규어는 성인이 수집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난감이라는 이유로 어린이 용품으로 포함시켰다"며 "국내에서 생산하지 않는 피규어는 구매할 길이 없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 보호와 선택권 보장 사이의 균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선택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보다 소비자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