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프로의 골프미학]<23>‘‘나쁜 스윙” 볼만 때리는 1차원적 스윙

입력 2024-05-12 15:26:22 수정 2024-05-13 00:05:40

‘몸통 스윙’을 위해서는 2·3차적 동작이 뒤따라야
클럽페이스로 볼을 때리는 1차적 본능에서 벗어나야
골프는 스포츠 중 가장 예민한 종목, 처음 습관 중요

"공은 때리는 것이 아닙니다.", 잭 니클로스의 몸통 스윙. 출처=미국 SI

오랫동안 익혀진 습관은 관성적인 자세를 만들기 마련이다. 특히 골프 스윙에서 자신이 빚어낸 잘못된 습관은 어지간히 노력해도 새롭고 정확한 자세로 변환하기에 무척 큰 어려움이 따른다. 클럽 헤드가 볼을 향해 때리는 1차원적 방식이 가장 손쉬운 원초적 골프 스윙이다.

골프에서 전문 목수가 휘두르는 망치 자세나 채찍 던지기, 물수제비 동작의 오른팔, 팽이치기 등은 1차적 몸의 움직임인 손을 제어하고 팔뚝과 어깨를 휘둘러 만드는 2차적 동작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몸통 스윙'이라고 지칭하는 동작은 한 걸음 더 나아가 3차적 스윙의 메커니즘임을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로 볼이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은 2·3차적 동작을 겸비되어야 한다. 그래야 비거리와 방향성을 일관성있게 추구할 수 있다.

대다수 아마추어 골퍼들은 자신의 스윙에서 본성에 가까운 손목으로 볼을 향해 클럽페이스를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곤 한다. 결국 이 과정의 기간이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악성 스윙과 볼이 목적한대로 날아가지 않고 난사되는 비극을 경험할 수 밖에 없다.

스스로 자가 발전을 꾀하는 골퍼들이 가장 평범하게 행하는 잘못 중 으뜸가는 항목이 볼을 클럽페이스로 때리는 1차적 본능의 스윙임을 깨우쳐야 한다. 초기 골프입문 시기에 볼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는 동작은 대부분 손목과 손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노릇이다.

이 시기에도 제대로 된 동작은 손으로 클럽헤드를 컨트롤 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 가운데 팔뚝과 어깨가 작동하는 2차적인 움직임에 몰두하는 버릇을 애초부터 키워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하체를 활용한 스윙은 오랜 기간이 소요되긴 하지만 습관적인 움직임을 키워가기 위해 지속적으로 시도해야 한다.

실제로 선수들의 스윙모션을 살펴보거나 훈련과정을 지켜보면, 볼을 치는 동작을 연습하지 않고 전혀 별개의 동작들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선수들이 빈스윙을 통해 신체 전반의 몸통을 일정하게 움직이는 것은 클럽페이스에 몰입해 공만 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몸통 스윙을 위한 준비운동으로 봐야 한다.

빈 스윙과 본 스윙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임팩트 순간을 인지하고 볼을 쳐야 한다는 강박관념은 클럽을 스윙으로 던지거나 휘두르게 만들지 못하는 인식상황을 초래한다. 볼이 놓여있는 지점에서 클럽헤드가 과감하게 지나쳐야 함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현상을 만든다.

이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돼 몸에 익혀지면 향후 볼을 무심하게 지나치며 휘두르는 스윙은 영원히 터득하지 못하고 골프 인생을 마감해야 하는 운명에 놓이게 된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을 골프에서 적용하면 입문 초기에 잘못된 몇 개월이 골프인생 몇십년을 어렵게 한다는 얘기로 풀이할 수 있다.

골프 스윙은 스스로 몸을 비틀어 팔을 이용하고 하체의 탄력을 생성하게 만드는 운동인 탓에 여타 스포츠의 활동성과 대비되는 측면이 많다. 어떤 종목에서도 골프처럼 몸통의 비틀림을 이용해 일정한 모션을 만든 뒤, 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골프의 민감성은 매우 높은 편이다. 아니 가장 높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처럼 예민하고 민감한 골프를 입문 초기에 대충 일반적인 스포츠를 대하듯 설렁설렁 다가서 볼 맞추기에 재미를 들이는 것은 나중에 큰 후회를 낳게 한다.

나쁜 골퍼는 잘못된 스윙이나 습관이 몸에 깊게 새겨졌다는 점을 눈치채야만 한다. 좋은 습관의 스윙은 피나는 연습과 땀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골프 칼럼니스트(황환수 골프 아카데미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