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전 방문 예정에서 선거 이후 기약없이 밀려
‘보수텃밭 경북 역차별(?)’ 지역 내 실망감 커져
윤석열 대통령의 경북권 민생토론이 하염없이 연기되며 지역 내 실망감이 적지 않다.
현재까지 20번이 넘는 민생토론회가 열리는 동안 정작 보수중심지인 경북이 소외받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앙 정치권에서 윤 대통령의 지역 방문이 '총선용 이벤트'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이와 상관없이 경북지역에서는 산적한 숙제를 해결하기 위한 말 그대로 '민생행보'가 이어지길 고대하는 모습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4일 경기도 용인 중소기업인력개발원에서 첫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그동안 중앙부처로부터 받던 사업계획 업무보고를 대체하며, 직접 현장에서 국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만든 자리다.
지난 26일 충북 청주시까지 총 24번의 민생토론회가 열리는 동안 경기도 9번을 포함해 수도권에서만 총 14번의 대통령 현장 방문이 이어졌다.
반면, 지금까지 경북을 비롯해 광주, 전북, 제주지역은 한번도 민생토론회가 이뤄지지 않았다.
지역정계에 따르면 대통령실에서 최근 경북지역 민생토론회 개최 일정을 조율했으나 야권에서 "윤 대통령이 각 지역마다 천문학적 국책사업일 제안하는 등 민생을 빙자한 관권 선거를 자행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무기한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국혁신당은 윤 대통령의 민생토론회에 대한 국정조사를 예고하고 나섰으며, 참여연대는 지난 21일 민생토론회를 공무원의 선거 관연 금지 위반 혐의로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바 있다.
결국 대통령실은 선거 운동이 시작되는 28일부터 민생토론회를 중단하기로 했으며, 경북은 총선 이후에 민생토론회가 재추진되기를 희망해야 할 처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야권의 공세에 지나친 확대해석이라는 지적도 많다.
과거 문재인 대통령 역시 지난 2020년 4월 15일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코로나 방역 등을 이유로 그해 3~4월 활발한 현장방문을 이어왔다.
2020년 3월의 경우 총 9차례, 4월에는 경북 구미산단 방문을 시작으로 제주 4·3희생자 추념식, 강원 강릉 식목 행사, 인천공항 검역 점검 등 이틀에 한번꼴로 현장을 찾아 민생을 챙겼다. 문 대통령의 당시 현장방문은 방역 및 포스트 팬데믹 정책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선거와 별개로 대통령의 현장 방문을 서둘러 추진하며 지방소멸위기 속 지역들이 갖고 있는 문제들과 해결책에 대해 활발한 이야기가 오가야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경북은 ▷포항 영일만대교, 포스텍 의과대학 유치, 바이오 특화단지 선정, 수소·2차전지 산업 육성 ▷구미 반도체특화단지 개발, 방위산업 육성, 로봇산업 발전 ▷안동 안동대 의과대학 유치, 문경~안동 간 고속철도 연장, 공항배후산업단지 및 바이오생명국가산업단지 육성 등 지방소멸에 대처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상태다.
경북의 한 지역정계 인사는 "쉽사리 만날 수 없는 대통령을 현장 주민들이 직접 만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균형 있는 국정 운영을 위해 경북도민의 목소리에도 반드시 귀 기울여주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며 "대통령의 현장 방문을 너무 정치논리와 결부짓지 말길 바란다. 하루하루 소멸돼 가고 있는 지역의 현실을 직시한다면 얼마나 절실한 상황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