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2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을 찾아 의료계 관계자들과 '의대 증원' 등 의료개혁을 논의한다.
한 총리와 의료계의 만남으로 한 달 넘게 지속된 '의정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지만, 의대 증원 규모를 두고 양측 간의 시각차가 뚜렷해 최종 합의까지는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무총리실은 한 총리와 의료계와의 대화 자리가 마련됐다고 25일 밝혔다. 한 총리는 의료계 관계자들과 만나 의과대학 정원 증원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26일부터 의료현장을 떠난 전공의를 대상으로 면허정지 처분에 돌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정부와 의료계 간 대화의 불씨가 살아났고,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도 미루기로 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전날 한 총리에게 "당과 협의해 유연한 (이탈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 처리 방안을 모색해 달라"며 "의료인과 건설적 협의체를 구성해 대화를 추진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에 정부는 총리실을 중심으로 의료계와의 대화를 위한 실무작업에 착수했다. 현재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대형병원 등 의료계 단체들과 접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와 대화 협의체가 구성될 경우 이탈 전공의들의 면허정지 처분 관련 논의와 의대 증원 등 관련 지원책이 대화 안건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의대 증원 규모를 두고 정부와 의료계 간의 시각차가 여전히 뚜렷해 완전한 갈등 해소는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2천명' 증원 숫자는 협상할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의료계는 숫자 조정을 요구하고 있어 의정 대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진통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대부분에서 소속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시작했거나 사직하기로 결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교수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오늘 사직서를 제출하겠다"며 "교수직을 던지고 책임을 맡은 환자 진료를 마친 후 수련병원과 소속 대학을 떠날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에는 강원대와 건국대, 건양대, 경상대, 계명대, 고려대, 대구가톨릭대, 부산대,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원광대, 이화여대, 인제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한양대 등 19개 대학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