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배정심사위 열어…회의 철저히 비공개 진행
의대생 유효휴학신청 7천 건 육박
정부가 의대 증원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15일 교육부와 복지부는 이날 의대정원 배정 심사위원회 첫 회의를 열어 2천명의 증원분을 지역별·대학별로 어떻게 배분할지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심사위원회에 참가하는 위원 정보나 회의 시간·장소·내용 등은 모두 철저히 비공개하기로 했는데 그 이유는 의료계가 극렬하게 반대하는 사안이다 보니 위원회나 위원들의 신성정보가 알려질 경우 평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최대한 이달 말을 목표로 배정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배정 작업을 완료하고 각 대학 2025학년도 모집공고에 이러한 사항을 반영해 의대 증원을 완전히 기정사실화 하는 이른바 '굳히기' 작전으로 진행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로 분석된다.
이번 의대 정원 확대의 가장 큰 수혜자로 지방 거점국립대 의대가 거론되는 가운데 경북대 의대 정원 또한 지역민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정부가 2천명의 의대 증원분을 수도권에 20%, 비수도권에 80%를 배분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고,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실현에 가장 많이 언급된 곳이 지방 거점국립대 의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구경북의 거점국립대인 경북대 의대의 확대 규모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현재 경북대 의대의 한 학년 정원은 110명이다. 지난 4일 경북대는 교육부에 의대 증원 요청을 넣을 때 140명을 더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이 요청이 모두 받아들여지면 경북대 의대의 한 학년 정원은 250명이다.
그렇게 되면 경북대 의대는 증원 이후의 서울대보다 더 많은 정원을 가진 의대가 된다. 서울대 의대는 현재 135명 정원에 15명을 더 늘려달라고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면 서울대 의대는 늘어나도 150명이다.
40명 정원의 '미니의대'로 분류되는 대구가톨릭대 의대 정원도 얼마나 늘어날지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의료계에서 "의대 운영에 투입되는 자원에 비해 정원이 지나치게 작다"며 운영상 비효율을 해소하기 위해 소규모 의대를 증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기 때문에 이들 의대의 증원 규모도 관심을 받았었다.
대구가톨릭대 의대는 40명을 더 늘려달라고 신청, 모두 받아들여지면 지금 정원의 2배인 80명의 정원을 갖게 된다.
한편, 의대생들의 유효 휴학 건수는 점점 늘어 7천건에 육박하고 있다.
15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날 하루 전국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효 휴학 신청' 누적 건수는 6천822건으로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의대 재학생(1만8천793명)의 36.3% 수준이다.
의대생들의 휴학 신청은 사흘 사이 1천380명 늘어났는데. 이는 대한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이 지난 9일 임시총회에서 '가장 먼저 휴학계가 수리되는 학교의 날짜에 맞춰 40개 모든 단위가 학교 측에 휴학계 수리를 요청한다'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 동맹휴학을 관철하겠다는 입장을 굳힌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