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2023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발표
은행 당기순익 21조3천억원으로 1년 새 15% 증가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대출자산 확대와 순이자마진(NIM) 개선 등에 힘입어 국내은행 순이익이 증가했고, 충당금 추가 적립으로 손실흡수능력이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은 21조3천억원으로 지난 2022년보다 2조8천억원(15.0%) 증가했다. 대출채권 등 이자수익 자산 확대에 따라 순이자마진이 1.65%로 0.03%포인트(p) 상승하면서 이자이익은 59조2천억원으로 3조2천억원(5.8%) 늘었다.
지난해 비이자이익은 5조8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4천억원(68.0%) 급증했다. 유가증권 평가·매매 이익(1천억원→5조원), ELS(주가연계증권) 판매 등에 따른 수수료 이익(5조원→5조1천억원)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비용 측면에서는 인건비가 감소했지만 임차료 등 물건비가 늘어나면서 판매·관리비가 26조6천억원으로 3천억원(1.1%) 증가했다.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에 따라 대손비용은 10조원으로 3조6천억원(55.6%)이나 늘었다. 법인세 비용은 3천억원(5.0%) 늘어난 6조9천억원으로 나왔다.
DGB대구은행의 경우 이자이익이 1조4천449억원에서 1조4천985억원으로, 비이자이익이 1억원에서 1천67억원으로 급증했으나 당기순이익은 3천639억원으로 239억원(6.2%) 감소했다.
대손충당금을 3천482억원으로 1천455억원(71.8%) 확대한 영향이 주효했다. 대구은행 영업이익은 381억원 감소(4천953억원→4천572억원)했고, 영업외손익은 79억원 급감(36억원→-43억원)하면서 적자로 돌아섰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견조한 원화대출 성장과 함께 비이자이익이 크게 증가했는데도 민생금융 지원 비용(450억원)과 취약자산에 대한 선제적 충당금 적립으로 당기순이익은 감소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