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1600명 비수도권 집중 배치…정부 배분안 마무리 예정

입력 2024-03-14 16:26:21 수정 2024-03-14 20:30:43

늘어난 의대 정원 수도권 20%·비수도권 80% 배정 추진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에서 '첨단 신산업으로 우뚝 솟는 대구'를 주제로 열린 열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 증원분 2천명을 곧 의대별로 배정하는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증원한 의대 증원을 2천명을 수도권에 20%, 비수도권에는 80% 정도로 배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비율대로라면 대구·경북을 포함한 비수도권에는 1천600명의 정원이 추가로 늘어나게 된다.

정부는 지난달 6일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의대 증원 규모를 2천명으로 정한 이래 의대 정원 증원분을 비수도권 의대에 더 많이 배분하겠다는 입장을 지속해서 밝혀왔다. 복지부는 이날 늘어난 정원의 대학별 배분과 관련해 "비수도권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집중 배정한다는 것이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그동안 지역의료 강화를 위해 지방 국립대를 지역 의료의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을 지속해서 내비쳐 왔다. 정부는 의대 증원분을 비수도권에 집중 배치, 지방 거점대학 의대의 경쟁력을 확실하게 키우고, 의대 정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대학의 정원을 늘려서 경쟁력을 갖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지역 의료기관이 우수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의대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현행보다 대폭 올리는 방안도 확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지방 의대를 졸업한 의사가 지방에 남아 일할 확률이 수도권에서 의대를 졸업한 의사가 지방에서 일할 확률보다 훨씬 크다고 보고 이번 전형의 확대가 지역의 의사 구인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는 의대 증원 관련 정책을 교육부 주도로 원칙을 정한 뒤 다음 달 중으로 마무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의대 증원 규모와 관련해 각 대학도 기대감이 높다. 대구권 4개 의대의 증원 요청 인원은 경북대 140명, 영남대 76명, 계명대 104명, 대구가톨릭대 40명 등 총 360명이다. 대부분 정원의 2배 이상을 신청했다. 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정부의 증원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된다면 대구 지역 의대들이 신청한 만큼 충분히 내려오지 않을까 기대한다"며 "일단은 정부의 선정 결과를 기다려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