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의대 입학정원 증원, 충분한 시간 두고 논의하자"

입력 2024-03-12 16:53:10 수정 2024-03-12 21:39:33

정부와 의사협회, 여야·국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제안…요구 받아들이지 않으면 18일 전원 사직
우리나라 적정 의사 수 도출 위해 공신력 있는 해외 복수 기관에 연구 주문 제안도

방재승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국회에서 의대증원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재승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국회에서 의대증원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의료공백 사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대한의사협회·여야·국민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한 후 충분한 시간을 두고 이번 사태를 촉발시킨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적정 의사수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을 위해 해외의 공신력 있는 기관 여러 곳에 1년 동안 연구를 맡긴 후 결과를 취합해 정책에 반영하자고 주장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는 이 같은 절충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오는 18일 전원 사직하기로 11일 결의했다.

방재승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12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의대증원 의사수를 무조건 2천명으로 고정하지 말고 대화 협의체를 구성해 (증원 규모를) 결정한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의사수 증원에 대해 정부 의견을 의사 쪽에서 못 믿고, 의사 쪽은 정부 의견을 못 믿고 있다"며 "공신력 있는 해외 기간에 의뢰를 해보는 방법을 제안한다. 해외 외부 기관에서 1년 정도의 기간을 통해 제대로 평가를 받은 뒤, 몇 개의 연구를 1년 뒤에 취합하면 어느 정도 일치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방 위원장은 "어제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총회에서는 87%가 단체 행동을 할 시점이 됐다고 판단했다"며 "(3월) 18일까지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으면 교수의 자발적 사직이 시작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비대위는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 단체도 이 같은 의견에 긍정적인 답변을 밝혔으며 정부가 요구를 수용하면 의대생과 전공의 전원 복귀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방 위원장은 "지금은 의사 수 확대보다는 필수·공공의료 살리기가 더 급하다"며 "저출산, 이공계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반도체 전쟁 등이 더 큰 문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