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원의 기록여행] 선거판에 술집·건달패도 한몫

입력 2024-03-07 11:24:20 수정 2024-03-08 09:41:28

매일신문 전신 남선경제신문 1950년 5월 20일 자
매일신문 전신 남선경제신문 1950년 5월 20일 자

'앞으로 10여 일로 박두한 총선에 있어서 각축전은 도를 가하여 능활능대한 수단의 선전전등으로 일반 유권자들의 심금을 혼돈케 하고 있는 요즘 지난 18일 밤 가장 사람이 많이 모여있는 극장에 갑구 출마자 모 씨를 중상하는 불온 삐라 살포 소동이 일어나 일시 장내를 소란케 한 사실이 있었다.' (매일신문 전신 남선경제신문 1950년 5월 20일 자)

대구의 극장가에서 소동이 벌어졌다. 1950년 5월 18일 밤 시내 자유극장. 영화의 마지막 상영이 끝나고 사람들이 극장을 막 빠져나가려는 순간, 장내가 웅성거렸다. 순식간에 전단이 뿌려졌다. 전단은 자유극장에만 뿌려진 것은 아니었다. 대구극장과 만경관에서도 같은 내용의 전단이 살포되었다. 전단에는 대구 갑구에 입후보한 후보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극장에서 왜 그런 일이 벌어졌을까. 보름 뒤인 5월 30일 치러지는 제2대 국회의원 선거와 연관이 있었다. 제헌의회 선거 이후 2년 만의 선거였다. 첫 선거를 치른 후 누구든 후보가 되어 당선될 수 있다는 정치효능감을 경험한 터였다. 후보 경쟁률은 10대1이 넘었다.

게다가 해방 후의 혼란상이 정리되지 않은 데다 친일 청산 논쟁까지 끼어들었다. 선거는 과열됐고 일각에서는 관권선거와 부정선거 시비가 벌어졌고 상대 후보에 대한 비방이 난무했다. 극장처럼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경쟁 후보에 대한 비방 전단을 뿌리는 일이 발생한 이유였다.

매일신문 전신 남선경제신문 1950년 5월 20일 자
매일신문 전신 남선경제신문 1950년 5월 20일 자

'바야흐로 무르녹는 차기 5‧30총선을 앞두고 거리와 골목어구는 문자 그대로 입후보자들이 붙인 총선 일색의 삐라와 벽보 등 가지각색의 선전문이 빗발치듯 쏟아지는 속에서 일반의 관심을 들끓게 하고 있다. 이렇게 번벅을 짓는 가운데 총선이 던진 선거풍이야말로 각계각층에 그 영향을 파급시키고 있는 바인데 그러면 여기 바람을 따라 휘날리는 거리에서 주운 풍경도를 엮어보기로 한다.' (남선경제신문 1950년 5월 20일 자)

선거철에는 도시의 풍경이 변했다. 간판점과 인쇄소는 선거특수의 한복판에 있었다. 도안과 글씨, 문장을 쓰는 시내 7~8개의 간판점은 황금 열차를 탔다는 표현이 나왔다. 출마자들은 간판점을 찾아 입간판과 현수막, 선전문 등을 맡겼다. 인쇄소는 일반 인쇄물 취급은 아예 중단되었다. 명함집과 골목 어귀에 붙는 전단과 벽보를 만드는 일도 인쇄소의 몫이었다. 명함과 봉투를 만드느라 활자와 풀칠로 씨름하는 모습은 인쇄소의 흔한 풍경이었다.

장판지나 조선종이를 갖다 놓고 파리만 날리던 시내 수십 개소의 지류상도 바빠졌다. 수요가 몰려 연당 1만 4~5천 원으로 가격이 올랐다. 시내 입후보자 40여 명이 종이 비용으로 총 6백만 원을 지출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대서업도 호황을 누렸다. 본업이 대서가 아니라 글줄이나 쓰고 알만한 사람들이 뛰어든 임시 대서업자였다.

말하자면 고등룸펜의 아르바이트로 인기가 있었다. 입후보자들이 유권자에 보내는 봉투 주소와 서신을 썼다. 이들이 받는 대가는 봉투 한 장에 20원, 서신은 70원 균일제였다. 우편물이 늘면서 집배원의 가죽가방도 어깨를 짓누를 정도로 무게가 늘었다.

선거철에는 자발적으로 바쁜 이들도 있었다. 바로 건달들이었다. 이들은 입후보자 사무실을 제집처럼 드나들며 곡차나 다과를 대접받았다. 한편으로는 표를 미끼 삼아 선거 브로커 역할을 했다. 후보자는 울며 겨자 먹기로 당하기 일쑤였다. 유권자들에 대한 향응도 공공연했다. 고급 요정들은 선거기간 내내 자리가 없을 정도로 붐볐다. 이러다 보니 됫술을 파는 술집이 하나둘 생겨 그 틈새를 파고들었다. 술 공급이 모자란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으레 그렇듯 4월 총선을 앞두고 여론조사를 빌미 삼아 각 정당의 의석수를 점치기 바쁘다. 술집‧건달패도 한몫했던 당시의 선거 결과는 어땠을까. 이승만 정부의 여당은 패했고 1당은 야당이 차지했다. 한 해 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의 해산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 청산이 무산된 영향도 있었다. 총 210명 중 무소속 당선자가 과반을 훨씬 뛰어넘었다. 초선 의원 비율 또한 상당히 높았다. 정국 변화의 요구가 드셌지만 총선 결과를 수습할 겨를도 없이 한 달도 안 돼 한국전쟁이 터졌다. 선거를 통한 민심의 심판은 전쟁의 참화 속에 뒤틀리고 말았다.

박창원 경북대 역사문화아카이브연구센터 연구원
박창원 경북대 역사문화아카이브연구센터 연구원

박창원 경북대 역사문화아카이브연구센터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