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금 주당 1천960원 결정…271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후 소각
KT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했다.
8일 KT 공시에 따르면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은 26조3천87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재작년보다 2.9% 증가 수치다.
이에 반해 영업이익은 1조6천498억원으로 2.4% 줄었고, 순이익도 9천887억원으로 28.8% 감소했다.
회사는 재작년 실적에 반영한 일회성 이익의 기저효과로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소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순이익은 엡실론, HCN 등 종속회사의 영업권 손상차손 발생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부연했다.
지난해 연간 설비투자(CAPEX) 규모는 3조3천190억원이었다. 이 중 본사가 72.6%인 2조4천116억원을 차지했다.
무선사업은 전년 대비 매출이 2.3% 증가했다.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 알뜰폰(MVNO) 사업 확대 등이 성장을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선 사업도 전년 대비 매출이 1% 성장했다. 유선전화의 경우 집 전화 수요 감소로 매출이 7.6%나 감소했지만, 초고속인터넷은 기가인터넷 가입자가 늘면서 2.8%의 매출이 증가했다.
KT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주당 1천960원을 현금 배당하기로 했다. 또 271억 원 상당의 자사주를 매입, 소각하기로 했다.
장민 KT 재무실장(전무)은 "올해도 정보기술(IT) 역량 강화와 근본적인 사업혁신을 통해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을 이뤄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모두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통신 시장은 요금, 유통, 상품 혁신 등 전반적인 고객가치 혁신으로 시장 위축 한계를 돌파하고, 기업간거래(B2B) 사업은 저수익 한계 사업 합리화와 기존 사업 플랫폼화 등 본업 기반 사업구조 개선과 정보기술(IT) 혁신을 통해 매출과 이익의 동반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