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안동예천 선거구에서 예천을 분리해 군위가 빠진 의성청송영덕에 통합하는 안을 내놓으면서 예천에서는 지역 출신 출마자가 나타날지에 관심이 쏠린다. 경북은 소지역주의가 강해 후보 출신지가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예천이 의성영덕청송과 합쳐진다면 이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예천 출신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어서다.
31일 예천 지역 정치권은 20년간 벼르던 지역 출신 '금배지' 배출이 더 이상 꿈은 아니라며 기대에 부푼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예천 인구가 5만5천325명으로 의성(5만86명), 영덕(3만4천55명), 청송(2만4천19명) 가운데 가장 많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지난 연말 21대 총선에 이어 22대 총선도 3배가량 인구가 많은 안동(15만3천여명)과 선거구를 함께 해야 한다는 안이 발표돼 지역민의 기대가 꺾이기도 했다"면서 "17대 총선부터 예천이 문경과 복합선거구로 총선을 치르면서 예천 출신 국회의원을 20년 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안이 확정된다면 신국환 전 의원 이후로 맥이 끊어진 예천 출신 국회의원을 이번에는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총선 예비후보로 등록한 예천 출신 인물은 한 명도 없다. 그저 안병윤 전 부산 행정부시장, 황정근 국민의힘 윤리위원장 등 2명의 이름이 물망에 오르는 정도다. 지역정가에서는 선거구가 이번에 제출된 안 그대로 확정된다면 그동안 특별한 의사를 내비치지 않던 이들이 출마 여부를 확실히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심지어 예천 출신 한 인사는 "안동이라는 대도시의 그늘에 가려 고심이 깊었지만, 예천이 안동과 분리되면 전격 출마에 나설 생각도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변수는 존재한다. 바로 경북도청 신도시 유권자의 표심이다. 예천은 신도시 조성과 함께 1만명 정도 인구가 늘었다. 이들 대다수는 타지역에서 옮겨왔다. 그런 만큼 기존 지역민과 같은 표심을 보일지는 미지수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예천 출신 인물이 국회의원이 되려면 예천을 '홈그라운드'라고 안심해선 안 될 것"이라며 "신도시 표심을 어떻게 모으느냐가 예천 선거운동에 중요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