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의 조리원 등 육아에 많은 비용든다는 점 지적
서울의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뉴욕타임스(NYT) 기자가 조리원 서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한국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인 이유를 설명해준다고 말했다.
28일(현지 시각) NYT는 한국에서 출산한 뒤 2주간 서울 강남에 있는 고급 산후조리원에 입소했던 로제타 찰튼 서울지국 에디터의 경험담을 전했다.
찰튼 에디터는 자신이 경험한 조리원 서비스를 자세히 소개했다. 조리원에서는 하루 세 번 신선한 식사가 제공되고 얼굴·전신 마사지, 모유수유법 등을 포함한 신생아 양육 수업이 진행된다.
그는 한밤중 수유한 뒤 간호사에게 아기를 맡기고 자신의 방으로 자러 들어가는 산모의 모습을 묘사하며 "수면은 한국 산후조리원이 제공하는 사치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조리원에서는 간호사들이 신생아를 24시간 돌보기 때문에 산모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어 "아기들은 하루 종일 신생아실에서 지내며, 산모는 모유수유를 할 시간이 되면 간호사의 호출을 받고 모유수유를 하러 간다. 모유수유를 원하지 않으면 안 해도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리원 입소 비용이 체류기간에 따라 최소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 수준이라는 점도 소개했다. 본인이 머물렀던 강남의 산후조리원의 경우 얼굴과 전신 마사지 등의 서비스 비용을 제외하고도 2주간 입소 비용이 800만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같은 고가의 비용이 한국의 낮은 출산율을 설명해준다고 말했다. 찰튼 에디터는 "한국의 출산율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높은 비용 때문에 한국인들이 출산을 꺼린다고 설명했다.
NYT는 한국의 낮은 출산율과 관련 "산후조리원이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단 2주에 불과하고, 이후의 삶은 또 다른 이야기"라는 출산을 앞둔 한국 여성의 발언을 소개하기도 했다.
다만 "한국식 산후조리 서비스를 미국에서도 누리면 좋겠다"는 한국계 미국인의 이야기도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