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 선호도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여론조사기관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향후 우리나라를 이끌 차기 대통령감'을 다자 간 대결 구도로 묻는 질문에 응답자 39%가 이 대표를, 35%가 한 위원장을 각각 선택했다.
김동연 경기지사·오세훈 서울시장·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각각 지지율 4%를 기록했고, 이어 홍준표 3%, 원희룡 2%,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박용진 민주당 의원 1% 순이었다.
'기타 다른후보'를 선택한 응답자는 3%, '지지후보 없음'과 '잘 모르겠다'는 각각 3%, 2%였다.
여론조사기관은 "이전 조사 대비 여야별 특정인물, 즉 이 대표와 한 위원장 중심으로 결집화하는 집중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후보 선호도를 여야 구도로 놓고 봤을 때, 여당 후보 5명(한동훈·오세훈·홍준표·원희룡·안철수) 표심 합은 45%, 야당 후보 4명(이재명·김동연·이낙연·박용진) 표심 합은 48%였다. 여야 후보 선호도 총합으로 놓고 보면 차기 대통령감 선호도 격차는 오차범위 내인 3%p다.
지역별로 이 대표와 한 위원장 선호도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이 대표는 광주·전라·제주(67%), 50대(48%), 40대(44%), 국정수행 부정평가층(66%), 민주당 지지층(82%)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한 위원장 지지세는 대전·충청·세종·강원(42%)과 대구·경북(41%), 여성(36%), 70대 이상(55%) 고 연령층, 국정수행 긍정 평가층(78%), 국민의힘 지지층(75%)에서 높게 나왔다.
지지정당이 없다고 응답한 무당층에선 응답자 30%가 이 대표를, 응답자 16%가 한 위원장을 차기 대통령 후보로 꼽았다. 이어 이 전 대표는 11%, 김 지사 9%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2.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