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국방부 장관 21일 영화 '서울의 봄'에서 육군본부 벙커를 지키다가 전사한 것으로 그려진 고(故) 정선엽 병장 훈장 추서 문제에 대해 "공적이 있으면 합당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신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보고에 출석해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이같은 질문에 "군의문사진상규명위와 전공상심의에서 결정된 이후 이분이 정확하게 공적이 있는지 확인해보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앞서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는 지난 3월 12·12 때 숨진 정 병장이 반란군에 저항하다 반란군의 총격으로 숨진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에 정 병장의 사망 구분을 '순직'에서 '전사'로 재심사해 정 병장의 명예를 회복해달라고 국방부 장관에게 요청했었다.
정 병장은 서울 용산 국방부 소속 헌병으로 복무하다 제대를 3개월 앞둔 1979년 12월 13일 새벽 국방부 지하벙커 초병 근무 중 반란군의 총탄으로 전사했다.
신 장관은 지난 2019년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12·12 군사반란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는 김병주 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12·12는 군사반란이라는 것을 숱하게 분명히 말했다"고 답했다.
당시 신 장관은 12·12 쿠데타에 대해 "박정희 대통령이 돌아가신 공백기에 나라를 구해야 겠다며 나왔다고 본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이에 대해 이날 신 장관은 "전체 맥락을 보고 이해해주면 좋겠다"며 "지금은 쿠데타가 불가능하며, 대한민국에선 쿠데타가 있어서도 안 되고 있을 수도 없다는 걸 강조하는 과정에서 나온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의 봄' 영화는 시간이 없어서 안 봤다"며 "12·12 사태 때 저는 육사 3학년이었고, 군 서열 1위인 합참의장은 중1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것을 영화로 표현하는 것은 좋지만, 지금 군 수뇌부와 연결해서 쿠데타를 운운하는 것은 유감스러운 발언"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