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추위에 수십명이 경복궁 낙서 지운다…"얼기 전에 지워야"

입력 2023-12-17 16:28:11

지난 16일 오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방향 담장에 스프레이로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를 표시한 낙서테러가 발생했다.(사진 위쪽)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17일 전문가들과 함께 훼손 현장을 보존처리 약품을 이용해 세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6일 오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방향 담장에 스프레이로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를 표시한 낙서테러가 발생했다.(사진 위쪽)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17일 전문가들과 함께 훼손 현장을 보존처리 약품을 이용해 세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문화유산인 서울 경복궁의 담벼락이 스프레이 낙서로 훼손된 가운데, 17일 갑작스러운 한파 속에서도 다수의 인원이 복구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문화재청은 낙서된 경복궁의 세척과 복구 작업을 위해 이날 오전 국립고궁박물관과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 처리 전문가 등 20명을 투입했다.

이번 작업은 경복궁 서측의 영추문과 국립고궁박물관 주변에서 동시에 이뤄질 예정이다. 붉은색과 푸른색 스프레이 자국이 굳어 석재 표면에 스며들기 전 가능한 한 빨리 제거하는 게 관건이다.

현재 영추문은 좌측 3.85m 구간, 우측 2.4m 구간에 각각 스프레이 낙서가 있다. 박물관 주변의 경우 좌·우측을 합쳐 38.1m에 이르는 구간이 훼손됐다.

문화재청은 화학 약품 처리, 레이저 세척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세척에 나설 계획이다. 스프레이 흔적을 지우는 데는 최소 일주일 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재청은 문화유산 훼손 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임금이 사는 궁궐)이었던 경복궁은 1963년 국가지정문화재(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됐다. 영추문의 좌·우측 부분 등 담장 전 영역도 사적 지정 범위에 포함된다.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사적 등 지정문화유산에 글씨, 그림 등을 쓰거나 그리거나 새기는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며, 이를 어길 시 원상 복구를 명하거나 관련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한편 지난 16일 새벽 경복궁 담장 일대에는 누군가 스프레이를 이용해 '영화 공짜' 문구와 함께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를 뜻하는 것으로 보이는 문구 등을 낙서하는 일이 벌어졌다.

문화재청과 경찰은 인근 폐쇄회로(CC)TV 등을 토대로 낙서를 한 용의자를 추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