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화물 제한도 완화… 영국 주 17회 화물운항 가능
우리나라와 폴란드를 오가는 항공기의 운항 횟수가 최대 주 12회까지 늘어난다. 또한 우리나라와 영국 간 화물 운항 제한도 완화돼 양국 간 물류 수송이 한층 원활해질 전망이다.
20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16일부터 이틀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한-폴란드 항공회담'을 열어 한국 모든 공항과 폴란드 모든 공항 간 운수권을 주 9회(여객 7회, 화물 2회)로 2회 늘리고,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폴란드 모든 공항을 오가는 여객 운수권 주 3회를 신설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운수권은 주 단위로 항공기를 몇 차례 운항할 수 있는지에 대한 권리로, 정부 간 합의를 통해 정한다.
기존에는 양국을 오가는 노선에서 여객 주 5회, 화물 주 2회 등 총 7회 운항이 허가됐는데, 이번 회담에 따라 여객 주 10회(3회는 부산발), 화물 2회로 운수권이 총 12회로 늘어났다. 폴란드를 오가는 하늘길이 넓어진 것은 2013년 이후 10년 만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폴란드는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공장과 SK넥실리스 동박공장(건설 중) 등 생산시설이 다수 있어 중·동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 마련을 위한 핵심 협력 국가다. 최근 방산과 플랜트,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정부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기도 하다.
국토부는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한-영국 항공회담'을 통해 양국 간 화물운항 제한을 완화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양국 상무협정(상협)에 따라 한국 모든 공항과 런던 히스로·개트윅 공항을 오가는 노선에서 상대국 항공사와 합의하지 않은 '단독 화물'은 주 1회만 운송할 수 있고, 이를 운송할 경우 수익 공유가 협의된 화물을 주 2회 반드시 병행해야 했다.
이번 회담을 통해 양국은 이런 상협을 폐지하고, 양국간 주 17회의 운수권(여객, 화물 합산)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화물을 운항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양국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반영해 영국측 지정 항공사(정기편을 운항할 수 있는 항공사)는 향후 EU 회원국 국민이 아닌 '영국인이 실질적으로 소유·지배하는 항공사'만 될 수 있도록 합의했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이번 합의로 유럽지역과의 인적·물적 교류가 보다 활발해지는 한편, 향후 김해-바르샤바 신규취항이 이뤄지면 비수도권의 기업인과 주민들이 김해공항에서 바로 유럽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